총 28기 노후 석탄화력 폐지…태안 1·2호기, 보령 5·6호기 등 코앞
핵심과제 대체발전소 ‘부지선정’…지자체와 협력, 수용성 확보 몰두
고성 천연가스발전소 국내 첫 지자체 공모, 양수발전 참여 지자체↑

고성 천연가스발전소가 들어설 삼천포발전본부 회처리장 전경. [사진=남동발전]
고성 천연가스발전소가 들어설 삼천포발전본부 회처리장 전경. [사진=남동발전]

총 28기의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의 폐지 시점이 점차 다가오면서 대체부지 선정을 놓고 수용성 확보가 핵심으로 떠오른다.

지난 27일 발전업계에 따르면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폐지로 인한 대체전원 개발이 최대 화두로 꼽힌다. 2025년 태안 1·2호기를 시작으로 2036년까지 총 28기의 노후 석탄화력을 LNG로 전환하는 작업이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일정에 맞춰 진행되기 때문이다.

발전사별로 살펴보면 ▲남동발전 3720MW ▲중부발전 1000MW ▲서부발전 3000MW ▲남부발전 3000MW ▲동서발전 3400MW 등 총 1만4120MW에 달하는 노후 석탄화력 설비가 순차적으로 LNG로 대체된 후 모두 폐지될 예정이다.

이 중 삼천포 3~6호기(2120MW)를 비롯해 ▲보령 5·6호기(1000MW) ▲태안 1~4호기(2000MW) ▲하동 1~4호기(2000MW) ▲당진 1~4호기(2000MW) ▲동해 1·2호기(400MW)는 2030년까지 발전소 문을 닫는다. 대체전원을 개발하는 데 최대 5년 남짓한 기간이 주어진 셈이다. 태안 1·2호기(2025년)나 보령 5·6호기, 하동 1호기(이상 2026년)처럼 폐지를 코앞에 둔 발전소도 있다.

이처럼 노후 석탄화력의 폐지 시점이 가까워지면서, 대체발전소가 들어설 부지선정이 핵심 과제로 떠오른다. 특히 지자체와 협력해 수용성을 최대한 확보하는 쪽으로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발전사가 지역에 가서 일단 깃발을 꽂고 주민을 설득하곤 했는데, 이를 둘러싼 갈등이 격화되다 보니 수용성 확보에 몰두하기 시작했다”며 “지역소멸로 위기를 맞고 있는 지자체와 손잡고 사업을 추진하는 등 돌파구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남동발전의 삼천포 3·4호기 대체전원인 ‘고성 천연가스발전소’ 사업이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2021년 8월 남동발전은 발전공기업 최초로 지자체 공모를 통해 경남 고성을 대체발전소 부지로 선정했다. 발전사 주도로 부지를 선정하고, 민원을 해결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발전소 유치를 희망하는 지자체로부터 제안서를 받아 평가하는 공모방식을 택했다.

남동발전 관계자는 “수용성 확보가 모든 사업의 가장 큰 이슈가 됐다”며 “특히 지자체가 주민 의견을 수렴해 발전사 공모에 참여하는 방식이 더 합리적이고 (결과적으로) 더 빠른 길이 됐다”고 말했다. 남동발전에 따르면 1120MW 규모의 고성 천연가스발전소는 올해 5월 본공사에 착공, 2027년 4월 준공된다. 삼천포 3·4호기의 폐지 시점은 2026년이다.

양수발전도 최근 발전공기업과 지자체 간 협력을 통해 수용성을 확보한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9월 정부가 사업공고를 내자 경남 합천과 전남 구례, 경북 영양, 경북 봉화, 전남 곡성, 충남 금산 등 6곳의 지자체가 한수원, 남동발전, 중부발전, 동서발전과 협력해 사업의향서를 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해 말 10차 전기본에 따라 경남 합천(한수원), 전남 구례(중부발전)를 신규 사업자로 발표했다. 경북 영양(한수원)과 경북 봉화(중부발전), 전남 곡성(동서발전), 충남 금산(남동발전)은 예비사업자로 선정됐다.

이와 관련해 발전업계 관계자는 지자체가 양수발전소 유치에 팔을 걷고 나선 데 대해 “수백억원에 달하는 지원금을 물론 인구 한 명이 아쉬운 지자체로선 양수발전소 건설이 지역소멸에 대응하는 중요한 기회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