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강수진 기자]개구리도 움쳐야 뛴다는 말이 있다. 준비 없이는 앞으로 나아가기가 어렵다는 의미다.

최근 고압수전 아파트 500만호 대상으로 AMI를 구축하는 ‘가정용 스마트전력 플랫폼 사업’의 4차 사업공고가 나왔다. 지난해 3배에 달하는 규모로 사업에 더 속도가 붙는 모양새지만, 정작 사업에 참여할 업계의 중론은 1년 전과 비슷하다.

공고 이외에 사업추진도 지지부진한 모습이다. 올해 6월이면 지난 2차 사업공고 20만호에 대한 사업이 마무리 돼야 한다. 그간 지자체와 AMI 협력에 나서는 등의 소식이 들려왔지만, AMI 보급 현황은 안개 속에 있는 상황이다.

업계에 따르면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는 AMI 사업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 정부 50%, 민자 50% 사업내용을 민자가 아닌 아파트 주민이 50% 자부담을 해야하는 것으로 오해한 지자체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업계에서는 가정용 스마트전력 플랫폼 사업에 대한 우려와 의혹만 커져가고 있다.

AMI 전문가들은 이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한 업계 전문가는 “코로나 사태와 더불어 그린뉴딜의 조기 추진으로 사업을 긴박하게 추진한다는 데 공감하지만, 사업자 권한이 모호한 부분이 있어 이런 문제와 제도를 정비해 다양한 서비스 사업자나 판매사업자의 등장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문제를 꼬집었다.

또 다른 업계 전문가는 “사업효과가 매우 미흡하다는 이유로 예산이 한차례 삭감됐는데, 여전히 많은 민간사업자가 참여하기 어려운 사업조건을 내건다면 이를 증명하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특정 업체만을 위한 사업이냐는 비판과 사업이 중단될 수도 있다는 쓴소리마저 나오고 있다.

사업자들이 참여하지 못하는 사업, 소비자와 기관이 제대로 알지 못하는 사업이 성공하리라 막연히 기대하는 것은 움치지 않고 뛰겠다고 생각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사업의 시행, 주관기관이 아파트 AMI 사업에 대한 충분한 홍보와 함께, 반복되는 업계의 우려에 좀 더 귀 기울여 이 사업이 필요한 사업이 되게끔 만들어야 한다.

그 동력으로 사업이 날개를 단다면 사업비 총 7050억원으로 출발한 대규모 사업이 제자리걸음을 하는 헛수고가 되는 일은 없으리라 본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