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가 이른바 ‘G2’ 리스크로 위태롭게 흔들리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금리인상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고 중국은 사드 배치에 대해 경제 보복으로 답하는 등 G2로 인한 위협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6일 임원회의를 열고, 미국의 금리 인상에 철저히 대비할 것을 주문했다. 이달 안으로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커진 데 따른 발언으로 보인다.

이 총재는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가능성이 있다”며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지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구체화시켜 보고하라”고 각 부서에 지시했다.

미국의 3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우리 금융시장의 불안감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미국이 본격적으로 통화 긴축에 나설 경우 국내 금리도 뒤따라 오르며 13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가 부실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금리가 역전될 경우에도 자금 유출이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시장금리가 빠르게 오를 수 있어 이를 방지할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중국의 위협은 보다 노골적이고 무차별적이다.

당장 롯데마트는 중국 당국으로부터 소방안전법 등의 위반 혐의로 수십여 점포의 영업정지 처분을 받는 등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했다.

한국산 차량에 대한 벽돌 테러와 한국산 불매 운동, 유커 방문 급감 등 사태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중국의 반한 감정과 억지보복에 맞선 반중여론도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산 제품 불매를 통해 맞불을 놓자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당정은 중국의 보복에 WTO 제소를 고려하고 있으며, 정부부처와 민간 합동으로 한중 통상점검 T/F가 운영되는 등 우리 대응도 빨라지고 있다.

가뜩이나 내수 위축과 수출 부진, 탄핵정국까지 이중, 삼중의 고통을 겪고 있는 우리 경제가 G2 리스크로 인해 다시 소용돌이에 휩싸인 형국이다.

심각한 위기 상황이지만, 이번 기회에 G2 의존도를 줄이고 우리 경제의 기반을 튼튼하게 만들 수 있는 혁신은 불가능할까.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