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ICT·CJ헬로비전·에스원 컨소시엄과 함께 국내 전기차 민간충전 시장 주도 포부
규제 샌드박스 임시허가 1호 선정 겹경사…“충전사업은 부동산·설비업 관점서 접근해야”

최영석 차지인 대표.
최영석 차지인 대표.

“전기차 충전용 과금형 콘센트를 보급해 ‘전기차 타기 편한 세상’을 만들겠습니다.”

최영석 차지인 대표<사진>가 올해 국내 전기차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밝힌 각오다.

차지인은 최근 한국자동차환경협회의 전기차 완속 충전 민간 서비스 사업자로 선정됐다. 포스코ICT·CJ헬로비전·에스원과 컨소시엄을 맺고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차지인은 기존 주 고객사인 포스코ICT의 시설 뿐 아니라 CJ헬로비전이 케이블TV를 설치한 아파트, 에스원이 관리하는 상업용 부동산까지 충전 사업 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최 대표는 “전기차 충전 플랫폼은 생각보다 복잡하다. 4사 모두 굳이 여러개 플랫폼에 중복 투자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며 “서로 간 호환성이 좋고 표준도 잘 돼 있어 이번에 협업하게 됐다”고 말했다.

차지인은 또 지난달 산업통상자원부의 제1차 산업융합 규제특례심의위원회를 통해 규제 샌드박스 임시허가 1호로 결정되면서 겹경사를 맞았다. 이로써 국내 전기차 충전용 과금형 콘센트 사업에 물꼬를 트게 됐다.

전기차 충전용 과금형 콘센트는 현행 220볼트 콘센트에 과금 기능을 탑재한 것으로, 다세대 공동주택, 아파트, 빌딩 등 주요 주차장에 설치된 콘센트를 전기차 충전용으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다.

최 대표는 “그동안 전기는 한전만이 팔 수 있었기 때문에 중간에 사업자가 들어와 전기차 운전자에게 충전 비용을 받는 것은 불법이었다”며 “하지만 이번에 전력 재판매 부분이 해결된 것”이라고 언급했다.

최 대표는 서울시 1호 전기차 오너이기도 하다. 2014년 12월 전기차를 처음 구매한 뒤 충전에 불편함을 느껴 이를 해결하고자 직접 회사를 설립했고 2017년 10월 전기차 충전용 과금형 콘센트 제품을 완성했다.

그는 “차지인은 사실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가 아니다. 원래 전기차 충전 관련 플랫폼을 하고 있었는데 기존의 충전기 제품과 통신 모듈, 결제 솔루션, 운영 방식 등이 연동되지 않아 자체 개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최 대표는 전기차 충전 사업에 대해 ‘건물주나 건설회사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이라고 정의했다. 건물주는 무단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돈을 받을 수 있고, 건설사 입장에서도 주택법규에 맞춰 적은 비용으로 충전 시설을 마련해 큰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차지인의 전기차 충전용 과금형 콘센트는 별도 통신없이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연동으로 결제가 가능해 고정비 지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덕분에 건물주도 부담없이 설치할 수 있다.

그는 “전기차 충전 사업은 주차 공간과 전기 설비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부동산·설비업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올해 전기차가 5만대 보급되면 충전이 불편해지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따른 값싼 부동산과 설비는 모자랄 수 밖에 없다”며 “급속충전기를 여기저기 많이 세우면 좋겠지만 비용이나 주변 여건상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최 대표는 “아파트나 직장 건물에는 여분의 전력이 별로 없다. 많은 사람들이 쉽고 편하게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은 기존 콘센트를 활용하는 것”이라며 “100세대 아파트 기준으로 7kW 완속충전기를 5개 이상 설치하기 어렵지만 이를 2~3개로 나누면 양은 적어도 더 많은 사람들이 고르게 충전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시간당 2kW를 충전할 경우 전기차로 12km정도를 갈 수 있는데, 퇴근 후 저녁에 집에 와서 다음날 아침에 일어나면 120km 주행이 가능한 셈”이라며 “실제 전기차를 타는 것보다 충전을 더 많이 하므로 일상 생활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마지막으로 “제발 전기차를 잘 모르는 사람이 이 분야에 개입하지 않았으면 한다. 새로운게 나왔는데 자꾸 기존 시각에서 얘기하는 건 시장 성장만 늦출 뿐”이라며 “전기차도, 충전사업도 마찬가지다.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해야지 자꾸 과거 틀에 맞춰서는 안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