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의 한수원 협력업체 “하는지도 몰랐다”
직원 30명대 불과한 서울 건설 업체 포함
“지역업체 홀대 근시안적 행정”

지난 7월 12일 울산그린카기술센터에서 ‘부산·울산 지역에너지 클러스터 인재양성 운영위원회’ 첫 회의를 마친 후 운영위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앞줄 왼쪽 세 번째부터) 김종도 한국해양대 교수, 김갑용 부산시 원자력안전과장, 신승호 한국원전해체기술협회 회장, 김성욱 울산시 원전해체산업팀장
지난 7월 12일 울산그린카기술센터에서 ‘부산·울산 지역에너지 클러스터 인재양성 운영위원회’ 첫 회의를 마친 후 운영위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앞줄 왼쪽 세 번째부터) 김종도 한국해양대 교수, 김갑용 부산시 원자력안전과장, 신승호 한국원전해체기술협회 회장, 김성욱 울산시 원전해체산업팀장

[전기신문 윤재현 기자] ‘부산·울산 지역에너지 클러스터 인재양성 사업’(이하 인재양성사업) 참여 기업 중 한수원 협력업체(유자격공급등록업체)는 물론 고리1호기 인근 기장군의 원전업체가 한 곳도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당초 취지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 4월 27일자 부산시 보도자료에 따르면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정 지역을 지원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올해부터 2025년까지 5년간 국비 47억5000만원과 지방비 23억7500만원을 포함해 총 72억원이 부산·울산 지역 내 원자력산업 중심의 인력양성을 위해 투입된다.

부산시와 울산시가 공동으로 참여해 부산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KINGS), 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 4개 대학, 한국수력원자력을 비롯한 지역 내 중소·중견기업 등이 참여한다.

인재양성사업 주관기관인 울산테크노파크에 따르면 공식 참여기업은 태웅, 성도건설산업, 오리온이엔씨 3곳이다. 이 중 한수원 협력업체는 한 곳도 없으며 고리1호기가 위치한 기장군의 원전기업 역시 한 곳도 없다.

지역의 원전 업계에서는 이들 기업 중에서도 성도건설산업(대표 도문길)에 대해서는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직원이 30명대에 불과한 서울의 건설업체인 성도건설산업은 두산중공업, 한국전력기술, 한전KPS 등과 더불어 에너지융복합단지의 앵커기업에 선정돼 논란이 있었다. <본지 2020년 11월 23일자 11면 ‘부산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앵커기업 선정에 홀대 논란’ 기사 참조>

이와 관련 부산연구원 관계자는 부산에서 폐기물처리업체를 찾을 수 없어 성도건설산업을 앵커기업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는 “성도건설산업은 철거, 철거설계, 플랜트, 건축, 토목, 리모델링, 석면, 비계임대 전문업체다. 폐기물처리업체로 보는 것은 무리”라며 “부산연구원의 주장은 선정 이유로 적절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실제로 성도건설산업은 이번 인재양성사업에서도 폐기물처리가 아닌 철거 해체로 참여했다,

지역에서는 부산시가 앵커기업 선정에서 기장의 원전기업을 외면하더니 이번 인재양성사업 참여기업 선정에서도 지역의 원전기업 자존심에 상처를 입혔다는 평가다.

지역 원전 업계 관계자는 “협력업체들이 따라오는 대기업도 아니고 직원 30명대에 불과한 업체가 부산에 사무실 하나 낸다고 얼마나 많은 고용창출 효과가 있는지 의문이 든다”며 “이는 지방세를 성실히 납부하는 지역 기업들의 탈부산을 초래하는 근시안적인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부산·울산 에너지융복합단지의 핵심은 안전한 고리1호기 해체인데 이들 기업들이 고리1호기 안에서 작업을 해본 경험이 있는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대학 관계자는 “시간이 촉박해 앵커기업으로 기존에 알고 있던 성도건설산업, 태웅 등을 참여시켰다”고 밝혔다,

또 다른 대학 관계자는 “기업들도 세미나, 포럼 등에 자주 참여하고 소통을 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며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업계 관계자는 “인재양성사업을 하는지도 모르는데 어떻게 참여할 수 있느냐”고 반문하면서 “부산시가 의지만 있으면 기업들에 공문 발송은 하지 않더라도 전화로 참여를 독려할 수 있었다”며 부산시의 소통부재를 질타했다.

이어 “대경기술만 하더라도 기장군에서 창업해 원전 안전성 등급인 Q등급의 설계, 시공부터 기자재 제작 검사, 시공품질검사, 콘크리트 시험 등의 계열사가 있으며 원전해체 관련 다수의 정부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기장군의 원전기업이 성도건설산업을 대신해 앵커기업에 선정돼야 한다”며 “이번 인재양성사업에서도 대경기술과 같은 기장의 규모 있는 원전기업들이 누락된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한 원전 전문가는 “전기직 직렬이 아닌 행정직렬 공무원들의 잦은 인사이동으로 전문성이 떨어지며 부산연구원 등 산하기관 의존도가 높은 것이 근본적인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원자력발전소에서 제염, 폐기물처리, 운반 등 원전 운영과 관련된 일을 하는 업체들이 경험이 많은 것은 사실이며 이들에게 교육 및 연구개발의 기회를 준다면 지역경제는 물론 한국의 원전산업이 크게 발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