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지역의 에너지산업을 이끌 ‘에너지밸리’ 가 몇몇 업체의 위법 때문에 당초 조성 취지가 무색해 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

한전은 에너지밸리가 당초 계획대로 조성 될 수 있도록 해당 업체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함께 처벌을 해야한다. 이번에 직접생산규정을 위반한 기업들은 다른 지역에서 만든 제품을 직접 생산한 것처럼 꾸며 한전과 수의계약을 맺고 제품을 납품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동안 소문으로만 나 돌았던 내용이 밝혀진 만큼 에너지밸리 입주기업들의 편법에 대한 전수 조사는 물론 이렇게까지 할 수밖에 없었던 원인도 찾아내 제대로 된 지원대책을 만들어야 한다.

에너지밸리 구축은 한전이 본사를 나주로 이전하면서 지역상생 모델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한전은 글로벌 에너지기업의 역량을 바탕으로 광주·전남권 지역사회의 공동발전을 이끌겠다는 큰 그림에서 시작해 ‘글로컬(Glocal= Global + Local)’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 낼 만큼 열정을 쏟았다.

에너지밸리의 핵심은 기업을 유치해 생산을 유발하고 지역 인재의 채용을 확대해 고용을 창출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계획이었다. 때문에 한전이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것이 지역강소기업 유치·육성이다. 현지에서 지역 업체를 육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전력에너지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광주전남 ‘에너지밸리’ 로 몰려들 수 있도록 특화된 서비스와 경쟁력 있는 에너지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했다.

이번에 몇몇 업체가 규정을 위반한 직접생산확인제도 역시 에너지밸리 입주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차원에서 만들어진 제도인데 이를 교묘히 악용한 것은 성실히 생산설비를 구축하고 인력을 채용해 원칙대로 제품을 생산한 대다수의 기업들은 자괴감이 들 수밖에 없을 것이다.

미국의 실리콘밸리가 성공할 수 있었던 것도 혁신과 창조에 가치를 두고 위험을 감수하는 모험정신의 젊은 인재들이 모여들면서 혁신적인 기업의 탄생을 이끌었다.

에너지밸리의 성공도 어찌보면 혁신적인 스타트업의 도전정신이 필요하다. 그런데 눈앞에 이익이 급급해 생산지나 위조하고 인력 돌려막기나 하는 기업들이 입주해 단감만 쏙 빼먹는다면 어떤 기업이 에너지밸리에 투자하고 싶은 마음이 생길 것이며 당초 계획했던 실리콘밸리 모델은 요원해 질 수밖에 없다.

이번에 제대로 된 조사를 통해 생산지위반 외에도 다른 위반 사항이 있다면 샅샅이 찾아내 해당 업체는 제재를 하고 에너지밸리 입주 기업에 대한 지원을 정상화 해야한다. 또 제대로 인력과 장비를 갖추고 일한 기업에 대해서는 인센티브도 늘려야 한다.

에너지밸리 조성 후 소문만 무성하던 규정위반 사례가 이번에 처음 적발된 만큼, 입주기업들도 처벌에 대해 예의주시 할 것이다. 특히 전수 조사를 통해 추가 적발 기업이 발생할 수 있는지도 촉각을 곤두 세울 것이다. 에너지밸리가 당초 계획대로 순항하기 위해선 이번 규정위반 기업에 대한 처벌 수위와 함께 재발방지 대책이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