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최근주 기자] “태양광 시장에서 대세는 중국이죠.”

폴리실리콘, 웨이퍼, 셀 모듈로 이어지는 태양광 제조업계에서 중국의 영향력은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정도로 커졌다.

수출입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2020년 4분기 기준 태양광산업 밸류체인 전반에서 중국의 점유율은 폴리실리콘 72%, 잉곳·웨이퍼 92%, 셀 88%, 모듈 85%로 나타났다. 태양광 모듈 밸류체인의 가장 앞단에 있는 태양광 폴리실리콘의 경우에는 올해 기준으로 글로벌 폴리실리콘 생산용량은 64만t이며 중국은 46만t, 미국 6만t, 독일 6만t 수준이다.

낮은 전기 요금과 인건비, 대규모 내수 시장에서 기른 기술력과 생산능력을 확보한 중국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공격적으로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그러자 미국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최근 미국 상무부가 중국의 신장 지역 위구르족 인권탄압을 이유로 호신실리콘산업, 신장생산건설병단(XPCC), 신장다코 뉴에너지 등 5개 중국 기업에 대한 미국 기업의 수출을 제한하고 나선 것이다.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도 강제노동을 이유로 신장 지역에서 생산한 폴리실리콘에 대한 수입금지를 결정했다.

일각에선 미중 간의 갈등이 태양광 산업으로까지 번지면서 OCI, 한화솔루션 등 국내 폴리실리콘 기업들이 수혜를 입을 거란 분석도 나온다.

문제는 중국의 글로벌 태양광 시장 패권은 금방 무너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중국 폴리실리콘 기업들의 주가가 보란 듯이 상승한 것도 하나의 반증이다.

제재 대상이 된 기업들이 신장 이외의 지역으로 생산시설을 옮기거나 증설할 수 있는데다, 지금도 신장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폴리실리콘도 상당하다. 게다가 폴리실리콘을 이용해 잉곳, 웨이퍼를 생산하는 업체들 상당수 역시 중국에 있어 미국의 제재가 큰 악재로까지 여겨지지 않는 분위기다.

전 세계가 탄소중립과 에너지전환에 성공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확산에 매진하고 있는 지금, 중국의 글로벌 태양광 패권에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