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오철 기자] 전기차 충전인프라 보급의 가장 높은 벽은 역시 주민수용성이다. 급속이야 공공부지나 사유지를 매입해 환경부나 한전이 보급하면 되지만 완속은 아파트 및 주택 주차장 등에 설치해야 해서 주차공간을 빼앗긴다는 생각에 반대가 심하다. 또 충전기를 설치하면 계약전력 용량을 늘려야 하고 이에 따른 추가 비용이 생긴다. 이 또한 반대를 부르는 강력한 요소다.

이런 가운데 사용 빈도가 높은 완속충전기 중심의 보급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보고서가 왕왕 발표되고 있다. 전기차 이용자들도 완속충전기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며 완속충전기 확장을 우선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주거시설 근처의 완속충전기 확충은 필요한지 알면서도 쉽지 않은 뜨거운 감자가 됐다.

궁하면 통한다고 했던가. 사업자들은 충전기 보급에 어려움을 겪자 전력부하 상승에 따른 비용 부담을 덜어내 주민수용성을 해소할 ‘스마트충전’ 기술을 개발·도입했다. 스마트충전은 전력을 배분하는 충전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기존 계약전력보다 훨씬 적은 용량으로 전기차를 충전하는 기술이다. 충전 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도 있지만 보통 저녁부터 아침까지 충전하기 때문에 이는 이용자 형태를 고려한 충전 방법이기도 하다.

최근 관련 보고서에서도 스마트충전 보급이 중요하다고 명시했다. 2023년부터 기축건물 주차면적의 2%에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해야 하므로 모든 생활거점에 과금형콘센트를 설치하기보단 스마트충전 기술을 활용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올해 환경공단이 보조금을 지원하는 충전기 종류에 과금형콘센트는 있지만 스마트충전은 없다. 그나마 다행인 건 스마트충전 기술이 들어간 키오스크 방식에는 보조금을 지원한다. 다만 스마트충전방식에 키오스크만 있는 것이 아니므로 다양한 스마트충전에 대한 활성화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핸드폰처럼 상시적인 충전’을 위해 과금형콘센트도 필요하다. 하지만 곧 도입될 기축건물 EV 충전기 의무화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충전이 더 필요해 보인다. 우선순위에 따른 보조금 지원이 필요할 때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