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목표는 2030년까지 미래차 경쟁력 1등 국가가 되는 것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먼저 자율주행을 상용화 하겠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10월 15일 오후 경기도 화성시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미래차 산업 국가비전 선포식’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는데요.

최근 세계 자동차 산업은 경계가 무한 확장되는 대변혁이 진행 중입니다.

세계 자동차 시장은 당분간 1% 내외의 저성장이 전망되는 가운데 4차 산업혁명 및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촉발된 ‘친환경화’, ‘지능화’, ‘서비스화’ 등의 혁신적인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죠.

이에 정부는 주요 도로에서 운전자 관여없이 자동차 스스로 운행하는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목표 시기를 기존 2030년에서 2027년으로 앞당기겠다는 구상을 밝혔습니다.

또 2030년 전기차 및 수소차의 신차 판매 비중 33%, 세계 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하겠다는 각오도 전했습니다.

정부는 ‘2030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을 통해 우리나라의 안전, 환경, 기술수준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안전) 교통 사고 사망자 74%, 교통 정체 30% 저감

(환경) 온실가스 30%, 미세먼지 11% 감축

(기술) 자율차 기술 선도국 도약, 세계 최고 전기·수소차 기술력 확보

이번에 정부가 발표한 산업 발전전략은 기존 대책과의 몇가지 차이점이 있는데요.

일단 계획 기간을 2030년으로 확대한 중장기 로드맵을 제시하면서도 예전보다 분야별로 구체적인 방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첫째로 글로벌 시장이 급변하는 상황을 반영해 정책의 시기 및 내용을 가속화·조정하는데 주안점을 뒀습니다.

둘째로 친환경차의 경우 ‘국내 보급 뿐 아니라 글로벌 진출’, ‘제작사 규제 중심에서 대량 수요자 역할 강화 포함’ 등 균형있는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셋째로 산업 생태계 측면에서 부품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중심이 아닌 적극적인 미래차 전환과 개방형 생태계 조성을 보다 강조했습니다.

산업부 측은 “이번 미래차 전략은 민간의 투자에 정부가 화답하는 방식으로 그만큼 리스크도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지금까지 선진국 추격형(Fast Follower)에서 선도자(First Mover)가 되려면 감수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미래차 산업 발전 전략 선포가 민간 기업에는 마중물이, 국민들에게는 혁신성장을 통한 미래의 희망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