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원전 시장, 대형원전 → SMR 재편 가능성
산업계·연구계 아우른 ‘팀코리아’ 전략 필요
인허가 불확실성 해소, 안전성·차별화 전략도

20일 한국원자력학회 추계학술발표회 기간 중 열린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현황과 산업연계 및 육성 세미나’에서 심형진 서울대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20일 한국원자력학회 추계학술발표회 기간 중 열린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현황과 산업연계 및 육성 세미나’에서 심형진 서울대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전기신문 정세영 기자] 혁신형 SMR이 성공적으로 개발되려면 원자력산업계와 연구계를 아우르는 철저한 ‘팀 코리아(Team Korea)’ 전략과 명확한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지난 20일 한국원자력학회 추계학술발표회 기간 중 열린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현황과 산업연계 및 육성 세미나’에서 심형진 서울대 교수는 “혁신형 SMR을 성공적으로 개발하려면 경제성 확보 방안을 포함해 ▲재생에너지와의 연계 ▲SMART와의 차별화 ▲인허가 불활실성 해소 전략 등이 다각적이고 세밀하게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심 교수는 “최근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 전통의 원자력 강국들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SMR에 주목하고 있다”며 “세계 원전 시장이 대형원전에서 SMR로 재편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 에너지부(DOE)는 올해 ‘5대 원자력 전략 비전’을 발표했고,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지난주 ‘프랑스 2030’을 발표하는 등 SMR에 대한 국제적 관심은 날로 높아져 가고 있다.

특히 미국은 기존 원전은 계속 운전하되 차세대원자로를 개발해 원자력 리더십을 유지하려고 한다.

심 교수는 “미국은 용윰염원자로, 고온가스로 등 차세대원전에 향후 7년간 최대 32억달러를 투자한다는 방침”이라며 “이런 상황을 감안할 때 혁신형 SMR의 개발 전략은 지금보다 다각적이고 세밀하게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전통적인 원자력 강국들도 SMR 개발에 국가적인 역량을 총결집하고 있는 만큼 철저한 ‘팀 코리아’ 전략과 명확한 목표 설정을 통해 대응해 나가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심 교수는 경제성 확보를 비롯해 재생에너지와의 연계, 기존 SMART와의 차별와, 인허가 불확실성 해소 전략 등이 면밀히 수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규제기관의 규제기술 연구개발을 비롯해 산업계의 기술력까지 총동원돼야 한다는 게 심 교수의 설명이다.

먼저 심 교수는 “재생에너지의 확대는 불가피하므로 미래 원전은 부하추종운전 등 탄력운전 기능을 갖춤으로써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는 수단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SMART에 비해 모듈화와 안전계통 단순화를 통해 철저히 차별화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심 교수는 또 기술적인 측면 뿐 아니라 적기 인허가 심사를 위한 선진 인허가체계 구축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심 교수는 “원전에 사용되는 기술은 입증된 기술을 요구하지만, 혁신기술은 안전성을 입증한 바가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입증을 요구할 것인지 규제기관과 의견 충돌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심 교수는 미 의회와 원자력규제위원회(NRC)가 합심해 원자력혁신역량법(NEICA), 원자력혁신현대화법(NEIMA) 등 규제개선을 위한 법제화에 나선 점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심 교수는 “가칭 원자력혁신특별법을 제정해 혁신형 SMR 등 신형 원자로에 대한 예측 가능하고 효율적인 인허가 심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인허가 체계의 선진화가 필요하다”며 “규제기관도 SMR 규제기술 연구개발에 조기 착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