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수급계획 따른 송변전망 26개 중 5개 구축
기존 발전원 건설, 송변전설비 구축속도와 비슷
재생E, 설치장소 등 예측가능 시스템 필요성↑

정승일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한국전력공사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제공: 연합뉴스
정승일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한국전력공사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제공: 연합뉴스

[전기신문 정세영 기자] 지난 2015년 수립된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주요 송변전설비 26개 사업이 8차, 9차 계획으로 넘어가는 등 준공일정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전력 등 에너지공기업을 대상으로 열린 국정감사에서 이장섭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주요 송변전설비 구축이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진도표대로 진행되지 않아 사실상 ‘무용지물’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지난 2015년 이후 수립된 7~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예정된 26개의 주요 송변전망 구축사업이 계획대로라면 현재 18개 사업이 준공됐어야 하지만, 실제로 사업이 완료된 곳은 5곳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 의원에 따르면 송전선로 신설·보강 사업은 10곳이 적기에 구축을 완료하지 못했다. 7차 수급계획대로라면 현재까지 9곳의 송전선로 사업이 완료됐어야 하나, 현재 준공완료는 1곳에 불과했다.

변전소 신설·보강도 계획대로라면 현재 시점까지 9곳의 변전소가 신설을 완료했어야 했다. 그러나 현재 4개 사업이 완료된 상황이다.

이 의원은 “전력수급계획 수립과 현장 시공이 따로 놀고 있다”며 “특히 산업부가 현장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계획을 세우다보니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겠느냐”며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대해 이원주 산업부 전력정책혁신관은 “수급계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아 장기적인 전력수급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수급계획을 수립하고 나서도 수시로 조정해 계획을 현실화하겠다”고 답했다.

정승일 한국전력 사장은 “가스복합발전은 5년, 석탄발전은 7년, 원전은 10년 소요돼 송변전설비 구축 속도와 비슷해 망 연계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근본적으로 재생에너지는 3년이면 건설 가능해 6년에 이르는 송전망 건설주기로는 따라잡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 사장은 “16.3GW에 달하는 재생에너지 접속 대기물량 중 13.3GW를 해결해 현재 3GW가 남은 상황”이라며 “2.2GW는 내년까지 연계하겠다”고 덧붙였다.

정 사장은 또 “재생에너지가 어디에 구축될지 미리 입지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정비하면 송변전망 구축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