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스마트가로등 표준모델 개발
디밍제어·가로등 관제시스템에
각종 센서 부착 대국민서비스 제공
‘효율향상・불필요한 논쟁’ 차단

[전기신문 안상민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자체적으로 스마트시티 구축의 기반이 될 ‘스마트가로등 표준모델’을 개발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그동안 모호했던 스마트가로등 설치 과정에서의 전기공사와 정보통신공사 영역을 명확히 구분해 업무 효율을 높이고, 불필요한 논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H는 지난해 ‘LH형 스마트가로등 모델발굴 연구용역’을 통해 국내‧외 스마트시티 및 스마트가로등의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LH형 스마트가로등 표준모델을 최근 발표했다.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LH형 스마트가로등 표준모델’은 ▲스마트가로등 기본모델 ▲스마트가로등+스마트폴 모델 ▲신호등 스마트폴 모델 ▲스마트가로등 안전 모델 ▲스마트가로등 안심귀가 모델 ▲스마트가로등+스마트폴(대기환경 분석) 모델 ▲스마트가로등+스마트폴(자율주행, 교통) 모델 ▲스마트가로등 + 대시민 적용 IoT 기술 적용 모델 ▲스마트가로등+전기자동차 충전장치 적용 모델 ▲스마트가로등+복합 기능 적용 모델 등 10개다.

LH형 스마트가로등은 기본적으로 디밍제어 시스템과 가로등 관제시스템이 탑재돼야 한다. 이는 가로등의 주 역할인 도로조명 기능을 수행하면서 에너지 절약 및 가로등 유지보수 자동화를 위해 필요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스마트폴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IoT기능이 적용된 다수의 디바이스와 센서를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도시데이터 측정뿐만 아니라 ▲교통 상황 및 도로안전 ▲도시안전 및 보행안전 ▲대시민 서비스 항목에 포함되는 기능 중 상황에 맞는 역할을 수행토록 했다.

이 중 도시데이터 측정 항목에는 미세먼지, 온·습도, 풍향·풍속, 소음, 빛, 진동, 차량속도, 배기가스 기능이 포함되며 교통상황 및 도로안전 항목은 속도센서, 통행량 센서, 충격감지센서, GPS 기능으로 나뉜다.

도시안전 항목에는 CCTV, 동작감지센서, 살얼음센서, 고보조명, 화재센서가 포함되며, 대시민 서비스 항목은 와이파이, 스마트 충전기, LED블록, 무선충전 장치로 분류된다.

LH 관계자는 “미래 산업인 스마트도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기반시설인 스마트가로등 표준 모델 개발에 나섰다"며 "세종시 스마트도시에서 시범사업을 진행하며 실효성을 확인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LH는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주요 발주처들과 협의해 구체적인 발주계획 및 스마트가로등 조성 환경을 구축해 나간다는 복안이다.

그동안 모호했던 스마트가로등 내 전기공사와 정보통신공사 영역을 명확히 한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융복합 제품이 속속 등장하면서 전기공사와 정보통신공사가 결합된 공종의 경우 그동안 업역 문제를 놓고 불필요한 소모적 논쟁이 계속돼 온 게 사실이다.

때문에 전기와 통신이 복합된 스마트폴의 경우에도 ▲스마트가로등 디밍제어 시스템 ▲조도, 속도, 통행량 측정기 ▲스마트가로등 관제 시스템 ▲스마트 충전기(전기차 충전 포함) ▲고보도명 ▲스마트 횡단보도는 전기공사 영역으로 분류하고, ▲환경센서(미세먼지, 풍향풍속, 온습도, 자외선 등) ▲충격감지 센서, GPS, 와이파이 ▲안전 센서 등은 정보통신공사의 영역에 포함시켰다.

LH 관계자는 “업무의 매끄러운 진행을 위해 역할을 구분했지만 스마트가로등 시스템은 각 부서 간의 협업을 통해 하나의 온전한 시스템으로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