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경영연구원, 운영예비력의 57% 인접국 거래 통해 충당
9개 국가와 전력거래...남는 재생에너지 전기 팔고, 부족할 때 수입

[전기신문 정형석 기자]에너지전환의 모범국가로 손꼽히는 독일은 운영예비력의 57%를 인접국과 거래를 통한 전력수입으로 충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전 경영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독일 전력망 연계의 재생에너지 수용 영향 검토’에 관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독일은 예비력 가용자원이 풍부한 동유럽 국가(체코, 폴란드 등)들과의 전력거래로 전력망에 필요한 예비력 자원을 확보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2010년까지만 해도 원자력과 석탄발전 비중이 65%에 달했던 독일은 에너지전환을 통해 2019년 재생에너지 비중이 40%에 달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원전과 석탄을 합친 것보다도 많아진 것이다.

재생에너지는 간헐성과 불확실성이라는 특성 때문에 안정적인 전력계통 운영을 위해서는 예비력을 충분히 확보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재생에너지 비중이 5.5%에 불과한 우리나라는 섬과 같은 독립계통이어서 제주도처럼 전기가 남을 때는 재생에너지 발전을 멈추고, 여름철과 같이 전력이 모자랄 때는 예비력 부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반면 독일은 9개 국가와 계통이 연계돼 전력이 부족할 때는 수입하고 남을 때는 수출함으로써 예비력을 조절하고 있다.

인접국가와 계통이 연계돼 있지 않았다면 독일도 벌써 에너지전환을 포기했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독일 역시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지역사회의 반대로 송전망 건설이 지연돼 계통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송전망 부족으로 발전단지가 모여있는 북동부 지역에서 경제중심지인 남서부 지역으로 송전하기 위해 일부 전력은 체코와 폴란드 송전망을 활용해야만 하는 실정이다.

물론 독일이 앞으로 재생에너지 비중을 더 늘리려면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 독일의 재생에너지 전력수출이 증가하면서 인접국가에서 전력 망·시장 운영의 불안 문제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연결하는 송전망이 부족함에 따라 전력망의 수용범위를 벗어나 병목 현상이 발생하고 있고, 체코와 폴란드의 경우는 과부하 문제로 정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독일은 인접국과 전력거래를 지속하고 외교적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책추진 속도를 늦추고, 송전선로 확충 지원 등의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 경영연구원은 “현재 우리나라는 외부로부터 고립된 입지조건이어서 에너지전환 이행과정에서 향후 인접국과의 전력거래를 통한 편익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다만 동북아 지역에서 국가 간 전력망 연계는 기대하기 어려워 독일처럼 인접국의 예비력 자원 공유와 재생에너지 과잉 발전량 수출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