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시민연대, 16일 수송부문 탄소중립 관련 토론회 개최
박지영 박사 “수송부문 탈탄소는 전동화 및 제도 강화 병행해야”
친환경 모빌리티 접근 쉬운 교통환경과 시민사회 참여도 필요

박지영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위원이 16일 ‘수송부문 탈탄소 확산을 위한 대안과 방향 정책토론회’에서 '미래 모빌리티 전망과 탈탄소화 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박지영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위원이 16일 ‘수송부문 탈탄소 확산을 위한 대안과 방향 정책토론회’에서 '미래 모빌리티 전망과 탈탄소화 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전기신문 오철 기자]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자율주행차, 도심항공교통수단(UAM) 등 신기술이 교통체계의 효율성을 개선해 간접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환경개선이 유발수요 발생과 주행거리 증가로 이어지는 등 리바운드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16일 에너지시민연대가 서울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개최한 ‘수송부문 탈탄소 확산을 위한 대안과 방향 정책토론회’에서 박지영 한국교통연구원 기후변화지속가능교통연구팀 연구위원은 “결국 신기술을 어떻게 활용할지 등의 제도적 방향 설정이 중요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내연기관차의 전동화, C-ITS, UAM 등의 미래 모빌리티 발전이 직·간접적으로 수송부문 온실가스를 점점 줄일 것이라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다만 전동화 흐름과 신기술은 에너지 및 산업의 탈탄소화와 연계해 진행될 때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특히 단기적으로는 전동화와 동시에 에너지 소비를 감축하는 제도 강화가 필요하다는 게 박 연구위원의 의견이다.

박지영 연구위원은 자동차 중심 교통시스템을 탄소배출량과 공간효율성 측면에서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후행동 모어랜드 자료에 따르면 탄소배출량 측면에서 전기차, 전기버스, 기차, 자전거, 걷기 등이 고효율 수단이지만 점유공간 측면에서는 전기차는 탄소발자국이 크다. 그는 “전기차는 점유 공간 측면에서 효율성이 낮다”며 “걷기, 자전거, 대중교통 수단을 더 많이 쓸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수단 전환을 위한 제도적, 환경적 여건의 중요성도 역설했다. 친환경 수송수단을 사용하고 싶어도 접근성과 환경 여건이 받쳐주지 못하면 어렵다는 것이다. 박 연구위원은 “사람들이 친환경 모빌리티 사용을 할 수 있게끔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적이고 선도적인 교통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민사회가 노력해야 하는 부분도 언급했다. 한국갤럽의 세계 39개국 성인 기후변화 관련 인식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들이 ‘지구 온난화는 인간행동의 결과다’와 ‘지구 온난화는 인류에게 심각한 위협이다’라는 질문에 둘 다 약 93%가 ‘그렇다’라고 답했다. 이는 전 세계적 국가 평균보다 약 10%가량 높다. 하지만 ‘기후변화를 막기에는 이미 너무 늦었다’라는 질문에는 ‘그렇다’라고 답한 비율이 전 세계 국가들보다 10% 이상 낮았다. 기후변화의 위기는 알고 있지만 개선적 측면에서는 회의적이라는 분석이다.

박지영 연구위원은 “대중교통시스템 강화, 탄소배충량 기준 교통비용구조 개선, 도시공간구조 개편 등 수송부문 정책은 현세대의 비용 들어가는 부담되는 정책”이라며 “사회적 합의와 수요자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탄소중립 정책 강화는 불가능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따라서 정책 수립과정에서 공감대 형성을 위한 인식개선을 위해 시민사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