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미래차 부품기업 1000개 육성
“일자리·생산기반 유지 필요한 상황”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혁신성장 빅3(시스템 반도체·미래차·바이오헬스) 추진 회의를 하고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혁신성장 빅3(시스템 반도체·미래차·바이오헬스) 추진 회의를 하고 있다.

[전기신문 정재원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가 자동차부품기업 미래차 전환을 위해 2826억원을 투자한다.

산업부는 10일 제11차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에서 ‘자동차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을 발표했다.

미래차 전환에 따라 전동화·자율주행부품 등 새로운 성장기회 창출이 가능한 반면, 엔진·동력전달 등 내연기관 부품 수요는 감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연구원의 실태조사 결과, 자동차 부품기업 및 고용의 약 47%인 4195개사, 10만 8000명이 엔진·동력전달·내연기관 전기장치 등 사업재편 필요성이 높은 분야에 해당해 이중 2030년 기준 900개 기업이 감소할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품산업 생산·고용이 2016년 이후 감소·정체된 상황에서 코로나19 이후 경영상황도 악화돼 개별기업의 역량으로는 미래차 사업전환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부품산업 생태계를 신속히 미래차 중심으로 혁신하여 친환경·자율주행 소재·부품시장을 선점하고, 일자리·생산기반 유지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정부는 일자리 유지를 위해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 미래차전환 지원의 기본방향 및 정책목표를 발표했다.

정부는 ▲미래차전환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 ▲공급망 내재화 부품, 신흥 전기차 업체, 틈새시장 등 시장이 커가는 분야로 사업·판로 다각화 ▲후발·소규모 기업에 대한 기술·인력·자금·공정 등 4대 지원수단 확충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정부는 2030년까지 부품기업 1000개를 미래차 기업으로 전환해 국내 부품산업의 생산·고용·수출 규모를 유지·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매출 1조원 이상 부품기업을 현재 13개에서 2030년까지 20개로 확대하고 1000만불 이상 수출부품기업은 현재 156개에서 2030년 250개로 확대하는 등 부품기업의 대형화·글로벌화를 집중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래차전환 지원 플랫폼 구축

추진전략으로는 ‘미래차전환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은 정부, 완성차사, 지원기관 등이 함께 부품기업의 전략수립, 기술개발, 자금조달, 사업화 등을 밀착 지원한다. 중앙에서 ‘사업재편 지원단’을 확대·개편해 미래차 개발·구매계획 공유, 컨설팅·금융·판로·사업화 등을 일괄 지원하고 지역에서는 부품기업 사업재편에 대한 지자체 역할 강화를 위해 지자체가 주도하고, 지역 대학·지원기관 등이 참여하는 특화지원 플랫폼을 구축하도록 돕는다. 또 완성차사 퇴직인력과 공공기관 연구인력 등을 부품기업에 파견해 미래 전략수립을 지원하고 부품 품목별 수요전망을 제공하기로 했다. 부품기업의 미래준비와 신사업 진출을 위한 ‘이종산업간 협력의 장’도 확대한다. 민간 주도로 ‘자율주행산업협회’를 설립, 부품기업과 IT 서비스 등 이종 기업간 ▲공동 R&D ▲전략적 제휴 ▲표준화 등 협업을 촉진하고 부품기업 희망 협력분야를 토대로 스타트업을 발굴·연계하는 ‘Smart Bridge’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신차 전략 부합 소재·개발 부품기업도 지원

자동차 부품산업의 사업모델 혁신 지원에선 부품기업들이 시장이 성장하는 분야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완성차사 신차개발 전략에 부합하는 부품·소재 개발에도 집중 지원한다. 하이브리드, SUV 전기차, 고효율 승용차 등 중견3사의 신차개발 전략과 연계해 중견3사 협력업체 특화 R&D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전기차·UAM·자율주행·연료전지 등 선도 완성차사의 미래 투자계획과 연계해 4대 분야 부품개발을 집중 지원, 시험·인증 기반을 구축한다. 또 완성차사의 공급망 내재화 계획과 연계해 총 648억원을 들여 국산화 전략품목 기술개발및 사업화 지원을 강화한다. 소형 전기화물차 등 틈새시장 진출을 위해선 국책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수소 청소차·살수차 등 특장차 전문 개조기업을 육성하고, 공공기관 의무구매 대상에 포함해 공공수요를 창출, 충전기 의무구축 강화 등에 따라 급성장이 전망되는 전기·수소 충전기 분야로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충전기 부품 국산화도 지원한다.

◆미래차 인력수요 1/4 정부가 공급

마지막으로는 자금·기술·인력·공정 등 4대 지원수단도 확충한다. 미래차 전환 설비투자 및 M&A 소요자금에 대한 저리융자 지원을 검토하고 중소기업의 지원한도 확대를 통해 미래차 전환을 위한 자금조달을 뒷받침한다. 상세 지원방안은 2022년 정부예산안 확정시 발표된다. 또 5000억원 규모 미래차 펀드를 조성하고 미래차 분야에 설비 투자 시 외투·지투 보조금을 지원할 수 있도록 관련 법 개정도 추진된다. 미래차 인력수요로 알려진 3만8000명의 25%는 정부가 인력양성사업을 통해 공급하기로 했다. 고급 연구인력은 ▲전장부품 제어와 자율주행 SW 등 석박사급 신규인력 양성 ▲부품기업 R&D부서 재직자 융합교육을 통해 5년간 3800명을 양성하고 현장인력은 5년간 6200명에 대해 융합기술 실무교육을 지원해 재직자 직무전환 촉진하는 등 미래차 전문인력을 5년간 1만명 양성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부품기업의 데이터 활용 촉진 및 제조공정 개선 지원을 통해 부품산업 생태계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겠다”며 “자동차부품산업 생태계 전반의 디지털 전환지원 종합전략을 3분기 중에 별도로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