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윤정일 기자] 정부는 스마트조명 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해 과거부터 다양한 R&D 사업을 추진했다.

스마트조명이 ‘LED시스템조명’으로 불렸던 지난 2012년부터 ‘LED시스템조명 1.0’ 사업과 ‘LED시스템조명 2.0 사업’을 잇달아 진행하면서 LED조명과 ICT 기술의 융복합을 모색했다.

뒤를 이어 총 415억원 규모의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조명 플랫폼 기술개발 및 실증과제를 추진, 스마트조명 표준화 등 예민한 분야도 살펴보고 있다.

전자통신연구원(ETRI) 주관으로 진행되고 있는 이 사업은 총 6차년도 과제로, 비영리기관 4곳과 대·중소기업, 수요기업 등 총 23개 기관·기업이 2025년까지 상호호환성을 확보한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조명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스마트조명과 관련된 R&D과제는 또 있다.

조명ICT연구원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총 36개월 간 산업부의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일환으로 ‘스마트 공공조명 KS 표준화 및 성능평가시스템 구축과제’를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 언급한 과제가 산업부 중심의 R&D 사업이었다면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 및 실증연구’는 국토부 주관 하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부, 행정안전부 등이 참여하는 다부처 사업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이 사업에는 2023년까지 총 260억원이 투입된다.

이처럼 정부는 스마트조명의 기술개발과 표준화, 인프라 확산을 위해 2012년 이후 현재까지 1000억원에 가까운 R&D 예산을 쏟아 붓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과제들을 열거해보면 스마트조명과 관련된 R&D 과제가 너무 우왕좌왕으로 추진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

각 과제마다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없지 않고, 보여주기식의 성과물만 남긴 채 과제가 종료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다. 또 일선 지자체와 기업들은 벌써 자체적으로 스마트조명과 관련된 기준, 제품들을 정해놓고 보급을 시작하는 상황에서 나중에 기준안이 마련되면 그 혼란을 어떻게 수습할 것인지도 의문이다.

특히 필자가 관심을 갖는 부분은 연구성과물의 현장적용성 문제다. 힘들게 만들어 놓은 성과물이 현장에 적용되지 않는다면 예산만 낭비한 꼴이 된다. 현장적용성 문제를 정부와 R&D 담당기관들이 반드시 챙겨야 하는 이유다.

이런 와중에 최근 의미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스마트가로등 표준안을 마련하고 있는 LH와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조명 플랫폼 기술개발 및 실증과제를 담당하고 있는 ETRI의 책임자가 최근 만나 협력방안을 논의한 것이다. ETRI의 스마트조명 플랫폼 기술개발 및 실증과제 성과물을 LH가 활용해 에너지절감 효과와 호환성·편의성을 갖춘 표준화된 스마트가로등 보급체계를 만들 수 있다면 LH도, ETRI도 금상첨화(錦上添花)가 아닐 수 없다.

R&D 사업의 성공여부는 실용화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연구개발 성과가 문서에서는 풍성해보여도 현장에서 외면당하고 실용화되지 못한다면 그것은 명백히 실패한 과제라는 점을 R&D사업 수행기관은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