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유희덕 기자] 미래 성장동력으로 불리는 배터리, 바이오 산업에 대한 정부의 R&D 등 지원은 크게 늘고 있지만, 정착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산업인 전기분야 지원이 늘지 않으면서 우려와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정부는 세계적인 환경, 에너지 트렌드에 맞춰 친환경에너지로 빠르게 전환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획보다 더 줄이기 위해 전환(발전)부문에서 재생에너지 보급을 더욱 높이기로 했다. 하지만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선 발전분야의 전환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전력산업계의 체질 개선이다.

재생에너지에서 만든 전기를 저장해 필요한 시간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배터리 산업의 경우 배터리 등의 공급능력을 확대하기 위해서 반드시 연계산업의 R&D가 뒤따라야 하는 만큼 전후방산업 파급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배터리와 연관된 다양한 산업분야가 있지만, 이 분야는 정부의 지원 정책에서 소외되면서 배터리 산업을 연계로 한 서플라이 체인구성에 대한 우려의 소리가 들리고 있다. 친환경 에너지 확대의 핵심역할을 하는 것이 송변배전 등 전력망인데, 이 분야는 전기산업의 핵심 분야다.

발전분야의 친환경 못지않게 전기산업의 친환경화를 이루는 것도 중요한데, 정부의 정책의 발전부문에 한정돼 있어, 반쪽짜리 정책이 될 수 있다.

전기산업계는 그동안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설비효율화, 공정개선, 신규설비 도입을 통한 에너지 효율화, 재생에너지 확대 등의 에너지 전환, 냉매 및 SF6(육불화황) 감축 등 R&D 투자와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이 분야의 연구가 선행돼야 하지만, 정부 지원이 부족 하다 보니 기업에 전적으로 맞길 수밖에 없어 친환경으로의 전환이 더디며, 또 기업들의 부담이 늘고 있다.

최근 정부의 내년도 예산을 보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예산들이 큰 폭으로 늘었다. 탄소중립 주무 부처인 환경부는 전체 예산 11조7900억원중 약 절반인 5조원을 탄소중립 이행에 편성했다. 수소·전기차 등 무공해차 보급 확대, 산업·공공부문 온실가스 감축, 녹색산업 및 녹색금융 활성화, 탄소흡수원 확대 등이 주 지원 분야다. 그나마 산업부는 전선로지중화 사업,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증가에 따른 안정적 계통연계·통합운용 기술개발 등 전력 신산업 예산을 전년보다 18% 늘려 예산을 편성했지만 전통 전기산업에 대한 지원은 찾아 볼 수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전기산업계의 SF6 가스를 사용하는 전력기기에서 나오는 CO2 배출량은 연간 약 196만 톤 수준으로, 탄소 저감형 친환경 절연소재를 개발할 경우 2030년까지 130만톤 정도로 낮출 수 있고 주장한다. 또 전동기 효율향상 설계 및 제조기술을 확보하면 전력사용량 절감을 기준으로 총 783만톤 정도의 이산화탄소 감축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친환경 전기 공급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존 산업의 친환경화를 위한 ‘리트로핏’ 지원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