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윤재현 기자] 원전 지역 주변을 보는 시각은 양면적이다.

많은 지원금을 받는다는 질시 섞인 외부의 시각과 동시에 내부적으로는 불안감을 안고 살지만 원전 때문에 부동산 가격은 상승하지 않고 관광, 어업 등 생업에 지장을 받는다는 것이다.

장단점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주민의 선택에 맡기면 되지만 대한민국 최초의 원자력발전소 고리1호기가 들어설 때 주민들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부산, 울산은 지난해 8월 공동으로 선정된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는 원자력이 중점산업이며 그중에서도 ‘원전해체’가 핵심이다. 2년 전 선정된 광주·전남 컨소시엄, 전북과 달리 종합지원센터를 별도로 건립하지 않고 몇 년 후 들어설 원전해체연구소로 대체할 예정이다.

그런데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앵커 기업에 고리1호기가 위치한 기장의 원전기업은 한 곳도 없다. 앵커 기업은 말 그대로 다른 기업을 이끌만한 규모와 기술을 갖춘 기업이어야 해서 기장에는 그만한 규모의 기업이 없다고 해명할 수는 있다. 그러나 직원 30명대에 불과한 성도건설산업이라는 서울의 작은 건설업체가 앵커 기업이 되자 지역에서는 이해할 수 없었다. 원전 기업이라고 할 수 없는 데다 직원이 30명대에 불과한 소기업이었기 때문이다. 한수원 협력업체(유자격등록업체)는 더더욱 아니었다.

그런데 최근 국비 지방비 72억원이 투입된 ‘지역에너지클러스트 인재육성사업’에 논란이 됐던 성도건설산업이 참여기업이 됐지만 기장의 원전 기업은 한 곳도 참여하지 못했다. 대다수 기장의 기업들은 인재육성사업을 알지 못했다. 기장의 원전 기업들 사이에서 부산시와 기장군을 향한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특히 기장군이 경제성 측면에서 고리1호기 즉시해체를 주장하고 사용후핵연료에 대해 보관세 신설 등 지방세 문제에는 적극적이어서 기장의 기업들이 느끼는 배신감은 더 크다,

이것을 단순히 지역 이기심으로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인재양성사업 참여기업들이 고리원전에서 막말로 막노동하는 기업들보다 이론은 앞설 수 있다, 그러나 원전에서의 경험은 하루아침에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한수원에서 이번에 선정된 참여기업들을 당장 협력업체로 인정하는 것도 아니다.

예로부터 문무를 갖춘 사람을 이상적인 인간으로 봤다. 이론과 실무를 다 경험한 기업들이 발전 가능성이 크다.

고리1호기에서 일했던 경험이 있는 기업들에 연구개발 교육의 기회를 얻게 한다면 지역경제는 물론 대한민국의 원전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그리고 기장의 원전 기업 중 최소한 한 곳이라도 앵커 기업에 서둘러 합류시켜야 한다.

앵커 기업에 선정되면 정보를 빠르게 습득하고 지자체 및 대학과도 친밀해지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무엇보다 기업 위상이 올라가고 직원들 사기가 올라간다. 부산시와 기장군은 외부기업 유치도 중요하지만, 향토 기업들 사기를 꺾는 행동은 그만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