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관광도시 부산의 대기질은 나쁘다.

부산보건환경연구원이 펴낸 '2017년 부산광역시 대기질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의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26ug/㎥(마이크로그램퍼 규빅미터)로 전국 7개 광역시 중 가장 높다.

항만에 정박 중인 선박들이 황 함유량이 높은 벙커C유를 사용해서 선박 안에 있는 발전기를 가동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국, 유럽은 물론 중국에서조차 선박 자체 발전기를 가동하는 것이 아니라 육상에 있는 전기를 선박으로 끌어들이는 육상전원공급설비(AMP, Alterative Maritime Power)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환적항인 부산항은 선사의 부담 등 여러 문제 때문에 아직 AMP를 시범 운영 중에 있다.

그런데 최근 부산산업과학혁신원(BISTEP)에서 부산시와 함께 부산에서 그린 수소항만을 추진 한다고 하니 깜짝 놀랐다.

아직 AMP도 시범 운영 중인 부산항에 수소항만이라니...

그런데 보도자료를 보니 그린수소를 어떻게 생산하고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없다.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그레이수소라면 지구 온난화와 대기질 측면에서 AMP를 운영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다.

유럽의 항만처럼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지구 온난화 측면에서 더 나을 수도 있다.

의구심을 가진 기자가 따져 묻자 담당부서인 부산시 제조혁신기반과 관계자는 BISTEP에서 낸 보도자료라며 책임을 회피하는 듯 한 해명을 했다.

BISTEP에서는 그린과 수소사이에 띄어쓰기가 돼있다며 그린수소 항만이 아니라 ‘그린 뉴딜’ 항만이라는 황당한 해명을 했다.

부산시가 수소를 가지고 장난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9년 12월 시청 12층 국제회의장에서 수소산업 관련 연구기관 및 에너지 분야 선도 기업 등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관계기관 간 ‘남・북・러 경협 수소생산・운송 프로젝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오거돈 전 부산시장과 김병진 BISTEP 원장, 전호환 전 부산대학교 총장 등이 참석하고 서명했는데 예산이 한 푼도 없었다.

지역 시민단체에서는 “예산확보도 되지 않았다는 것은 구체적인 사업실행계획과 의지가 없는 것이라며 실체 없는 협약서에 부산시는 시민과 관련 업계를 우롱한 격”이라고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1년이 지난 지금 프로젝트 관련 어떤 결과물로 들리지 않고 있다,

부울경에서 수소와 관련해서 부산은 인구가 3분지1도 되지 않는 울산이나 창원보다 못하다.

지역에서 부산은 가덕도 신공항 하나만 바라보고 있으며 다른 것은 다 포기했다는 말도 들린다.

공공기관의 보도자료는 신뢰하기 때문에 팩트 체크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부산시가 인구가 3분지1도 되지 않는 울산 창원에 뒤처지는 불안감 때문일 수도 있으나 시민들이 오해할 만한 언론 플레이는 자중해야 한다.

나중에는 이솝 우화의 양치기 소년처럼 부산시가 진실을 말해도 시민들은 믿지 않을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