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시험인증 시장규모는 매년 확대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2012년 8조4000억원이던 국내 시험인증 시장은 2013년 9조원, 2015년 10조5000억원, 2017년 13조원을 돌파했으며, 올해에는 15~16조원대에 달할 전망이다.

시험인증 시장규모가 커지는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우선 시험인증을 의뢰하는 제품의 종류가 많아졌을 때다.

경제가 활성화될수록, 신규시장이 많아질수록 시험인증을 받는 제품도 다양해 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이 같은 원인은 우리 경제에도 긍정적이다.

두 번째 배경은 한 개 제품이 받아야 하는 인증의 개수가 많을 때다.

가령 LED조명의 경우 기본적인 KC부터 전자파인증, KS,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 친환경인증, 녹색인증 등 5~6개의 인증을 획득해야 한다.

여기서 KS,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 친환경인증, 녹색인증 획득은 개별기업의 선택사항이지만 입찰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필요한 인증이라 사실상 강제인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업체들은 주장한다. 조달시장의 상위권 업체들이 연간 시험인증비로만 3~4억원을 쓴다는 하소연이 이래서 나온다.

일반 기업들과 시험인증기관들이 부딪히는 지점은 바로 이 부분이다.

제품이 받아야 하는 인증의 개수가 너무 많거나 수수료가 지나치게 높아 기업들의 비용부담이 너무 크다는 게 업체들의 하소연이다. 시험인증기관들이 기업들의 이윤을 뺏어 자기 배만 불린다는 험악한 얘기를 하는 CEO들도 적지 않다.

그런데 이 말은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별로 새로운 제품 인증들을 계속 만들어내면서 이를 획득하느라 허리가 휜 기업들이라면 이 말에 수긍하겠지만 ‘시험인증’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그 과정을 시험기관들의 돈벌이 수단 정도로만 치부하는 CEO라면 그것은 분명 오해다.

시험인증은 어떤 제품 또는 그 대표적인 표본을 선택해 중요한 작동 특성이 성능 사양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행하는 것으로, 이는 기업들에도, 소비자에게도 굉장히 중요한 제품 출시 전·후의 과정이다.

시험인증 기관은 소비자를 대신해 제품이 안전한지, 제대로 된 성능을 갖추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앞으로도 그 역할이 결코 폄하돼서는 안 된다.

최근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과 제품안전협회 전기매트협의회는 업무협약을 맺고, 제조업계와 시험인증기관이 어떻게 상생·발전해 나가야 하는지를 보여줬다.

이 협약을 통해 KTC는 앞으로 전기매트 제조업계의 어려움을 고려해 수수료 인하와 시험시간 단축, 제품 품질향상을 위해 노력키로 했고, 업체들은 전기매트가 받아야 하는 주요 시험인증을 KTC에 의뢰하면서 품질향상을 위해 함께 노력키로 했다.

시험인증기관과 제조업체는 서로의 이익을 뺏고 뺐기는 대결의 관계가 아니라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성능 좋은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공생의 관계여야 한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