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장수명화, 국내 산업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
“스마트화는 전 사업의 연계 통합성 확보해야 가능”

건물 장수명화가 관련 업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압축성장 시기를 지나 개발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건물 신축보다는 기존 건물의 유지·관리·보수 사업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은 지난 1일 시행된 ‘건축물관리법’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법은 건축물의 안전을 확보하는 한편, 건축물의 전 생애 동안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경수 스마트앤플러스 대표(한국지능형스마트건축물협회 부회장·사진)는 “건물 장수명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자, 앞으로 국내 산업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20여 년간 지능형건축물 산업의 일선에서 현장 경험을 쌓은 IT 전문가로, 현재 한국지능형스마트건축물협회의 부회장이자 기술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최근 국내 지능형건축물산업이 유지·관리·보수 중심으로 옮겨가고 있는 이유로 소득수준의 증가·국내 부동산시장의 안정화를 들었다. 국민소득이 3만 달러를 넘어가면서 건물 사용자(user)의 니즈가 다변화됐고, 부동산 시장이 안정화되면서 급격히 개발 수요가 줄어들었다는 분석이다.

그는 “개발이 한창이던 시기에는 건물이 줘야 할 효용가치가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에 그쳤다”며 “하지만 건물 사용자들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4차 산업혁명을 필두로 기술 수준이 고도화되자 ‘건물의 스마트화’가 새로운 과제로 부상했다”고 짚었다.

건물의 스마트화와 관련해서는 경제성과 준공 후 유지관리를 열쇳말로 제시했다. 다만 이 같은 가치요인(value factor)이 산업에 안착하기 위해선 사용자들의 인식 전환도 뒷받침돼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현재 건물 신축 시 건축비용의 5~10%가 지능화 기술·설비에 투입되는데 실제 사용성을 고려하지 않다보니 준공 이후에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잦다”며 “준공한 다음 유지·관리·보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건축비와 별개로 생각하는 것도 건물의 스마트화를 지연시키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국내 산업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과제로는 사업에 관련된 모든 주체들과 전 과정을 총괄하는 ‘엔지니어링 방법론’을 거론했다. 건축물의 효용을 극대화하고, 진정한 의미에서 ‘스마트화’를 달성하기 위해선 사업기획단계부터 준공 이후의 과정까지 통합해 계획이 수립돼야 한다는 얘기다.

그는 “부동산 개발계획 수립부터 설계, 시공, 이후 운영까지 전 과정이 명확한 목표에 기반해 이뤄져야 한다”며 “이를 통해 연계 통합성을 확보하는 게 산업 활성화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