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대한 다양한 소식을 접하면서 과도하리 만큼 사실을 왜곡한 보도를 종종 접할 때가 있다.

정부 정책에 대한 언론의 비판 감시 견제 기능을 넘어 사실 왜곡을 서슴치 않으면서 진실이 왜곡되는 모양새다. 정치적 의도를 갖고 그럴 수 있고 사실을 제대로 알지 못해서 그럴 수 있지만, 최근의 보도는 전자에 가깝다.

코로나19사태에 관련 정부의 초기 대응은 다소 미흡한 부분도 있을 수 있다. 정부의 공격적인 대응과 투명한 정보공개, 국민들에게 솔직한 상황 설명으로 국민들이 참여를 이끌면서 점차 감염자가 줄어드는 상황으로 반전했다.

우리나라와 중국을 제외하곤 이제 막 코로나19의 감염확산이 시작된 것과는 정반대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미국을 비롯한 유럽 등 의료기술 선진국들은 우리의 진단기술과 감염확산 통제 능력에 대해 부러움의 시각으로 바라본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단 키트를 만들어 보건당국의 긴급 소집회의가 열린지 7주 만에 29만 명이 넘는 검사를 실시하고 8000여 명의 확진자를 가려냈다.

국내 확진자가 4명에 불과했을 때 보건당국은 제약사들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진단 시스템 개발을 논의하고 한 제약회사가 처음으로 진단검사법을 개발해 당국의 승인을 받은 것은 회의를 한지 일주일 뒤였다고 한다. 국민들은 이런 소식들은 해외언론을 통해 접해야 한다.

이제 신규 확진자는 감소세에 접어들고 완치자가 증가하는 상황으로 역전됐다.

반면 한국과 비슷한 시기에 첫 확진자가 발생했던 미국은 여태까지 한국에 전혀 미치지 못하는 6만 건의 진단검사를 시행하는 데 그쳤다고 한다. 하지만 유독 일부 국내 언론만이 왜곡된 시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렇다 보니 잘못된 정보가 사실인 것처럼 이용되고 잘못된 행동까지로 이어질 수 있지 않을 가 우려되는 것도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이런 행태를 트롤링(trolling)에 비유한다. 사전적 의미는 인터넷 공간에 공격적이고 불쾌한 내용을 올려 다른 사람의 화를 부추기는 것처럼, 공격적이고 반사회적인 반응을 유발하는 행위를 일 컸는다.

뜻만 본다면 언론 본연의 임무와는 전혀 다른 해석이다. 언론에 대한 트롤링이란 단어가 ‘코로나19’ 때문에 회자되기 시작했지만, 종종 에너지 분야에서도 있었다.

에너지정책이 특정 분야를 지지하는 세력의 입맛에 맞게 해석돼 진실을 호도하고, 결국 진실처럼 인식될 때가 있었다.

최근 ‘우리나라의 전력산업을 중국에 넘기려 한다’는 것이 대표적인 트롤링식 인터넷 여론이었다.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둘러싼 각 진영에서도 비슷한 보도와 sns를 통한 여론이 있었다. 건강한 사회를 위해 국민들이 어떤 행동을 해야할지 고민해볼 때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