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결함 첫 손 꼽혀 반전 없을 듯
ESS 산업 안전 불안감 해소 발판 기대

지난해 1월 울산시 남구 대성산업가스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불이 나 소방대원들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관련 없음)   제공:연합뉴스
지난해 1월 울산시 남구 대성산업가스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불이 나 소방대원들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관련 없음) 제공:연합뉴스

2차 ESS화재사고조사위원회가 예정보다 일주일가량 늦어진 2월초에 조사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초 이달 말 최종결과를 공개한다는 방침이었지만 발표를 앞두고 새로운 이슈가 계속 터지는 데다 배터리제조사의 반발로 조사위의 고심이 깊어진 모양새다.

29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활동을 시작한 ESS 화재사고 2차 조사위 조사가 이달 마무리되고 다음달 초 공개될 예정이다.

2차 조사위는 보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그동안 10여 차례에 걸친 전체회의와 배터리 해체, 데이터 분석 등 과학적인 방법을 총동원해 왔다.

2017년 이후 지난해까지 총 28차례나 발생한 ESS 화재 탓에 국내 ESS 시장이 침체되는 것은 물론 앞으로 수출에도 악영향이 미칠 수 있는 만큼 정확한 원인 파악이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지난해 6월 1차 ESS 조사위 결과 발표 후에도 ESS 화재가 5건이나 추가로 발생하면서 복합적인 시스템 결함으로 결론 내려진 1차 조사위와 달리 2차 조사위는 구체적인 원인을 제시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출범했다.

업계를 통해 취합한 의견을 종합해보면 2차 조사위는 화재 원인으로 배터리 자체의 결함을 첫손에 꼽고 있다. 제조 공정상의 결함과 ESS를 운영하는 과정에서의 손상을 모두 포함한다. 다만 배터리 제조사들은 배터리에서 화재가 시작된 것은 인정하면서도 배터리 자체의 결함이 화재의 원인은 아니라며 자체 소명자료를 여러 차례 조사위 측에 전달한 상태여서 조사위가 이를 받아들일지가 관건이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배터리 자체 결함에 방점을 찍었던 결과가 뒤집힐 가능성은 없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한편 2차 조사위 결과 발표는 국내 ESS 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다질 기회가 될 전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국내 ESS 산업 생태계의 위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차 조사위 발표 이후에도 화재가 이어지면서 ESS 산업에 대한 투자가 안전한지에 대한 의문이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글로벌 ESS 시장 규모는 37.9% 증가한 반면 국내 시장은 33.9%가 줄어들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2차 조사위를 통해 ESS 안전성에 대한 불안을 해소한다면 시장 반등을 위한 초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