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환경’ 키워드 관통…발전산업 안전강화 이슈 부각

지난 3월 정부서울청사에서 차영환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왼쪽 세 번째)이 공공기관 작업장 안전강화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지난 3월 정부서울청사에서 차영환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왼쪽 세 번째)이 공공기관 작업장 안전강화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올해 발전분야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안전’과 ‘환경’으로 정리할 수 있다.

지난해 12월 고(故) 김용균 씨가 발전현장에서 숨진 채 발견된 이후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한 해 동안 공공기관 안전강화 대책, 2·5 당정합의, 석탄화력발전소 특별노동안전조사위원회 권고안 발표, 발전산업 안전강화 방안 발표가 이어졌다.

지난 3월에는 기록적인 미세먼지가 한반도를 덮치며 환경 이슈가 부각됐다. 대통령 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가 출범해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제안했다.

정부는 이 제안을 받아들여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시행하고 미세먼지가 심한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미세먼지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내년 2월까지 석탄화력 8~15기를 가동 중단하고 나머지 석탄화력도 가능한 한 출력을 80%로 제한하겠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올해 수립할 예정이었던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도 석탄화력을 대폭 축소하겠다며 발전공기업으로부터 노후 석탄화력발전소를 대상으로 액화천연가스(LNG)발전소 대체건설 의향 조사를 시행했다.

그러나 관련 절차가 지연되면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은 내년으로 넘어가게 돼 전기사업법 시행령에서 정한 시한을 지키지 못했다.

국제 LNG 시장이 수요자 우위로 바뀌면서 민간발전사를 중심으로 발전 연료를 직도입하는 움직임이 확대되면서 가스공사의 개별요금제 도입 여부도 화제였다.

내년부터 개별요금제가 시행되는 게 확실시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환경급전 제도 도입에 박차를 가하면서 전력거래시장에 대한 개혁 요구가 어느 때보다 강했다.

현행 변동비반영시장(CBP; Cost-Based Pool)은 수명을 다했다는 지적까지 제기된 가운데 ‘하루 전 시장’만 존재하는 문제점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이어졌다.

두산중공업은 국책과제로 진행하고 있는 발전용 가스터빈의 초도품을 만드는 데 성공해 이를 외부에 공개했다. 해당 가스터빈은 두산중공업 내부 테스트를 거쳐 오는 2022년 준공 예정인 김포열병합발전소에서 실증에 나선다.

발전공기업은 지난 6월 발표된 2018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호성적을 거뒀다. 중부발전과 남부발전이 A를 받았고 남동발전과 동서발전이 B, 서부발전이 C를 받았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