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1년 말 15만대 규모 가동 후 연산 25만대로 확대…아세안 겨낭 전기차 모델도 검토

(왼쪽부터) 바흐릴 라하달리아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장,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 이원희 현대차 사장이 26일 오후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 설립을 위한 투자협약식에 참석했다.
(왼쪽부터) 바흐릴 라하달리아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장,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 이원희 현대차 사장이 26일 오후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 설립을 위한 투자협약식에 참석했다.

현대자동차가 인도네시아에 아세안 지역 처음으로 완성차 생산거점을 구축한다.

현대차는 26일 오후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루훗 빈사르 판자이탄 해양투자조정부 장관, 아이르랑가 하르탄토 경제조정부 장관, 바흐릴 라하달리아 투자조정청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 이원희 현대차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인도네시아 정부와 현지 공장 건설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현대차는 2017년 아세안 시장 공략을 위한 전담 조직을 신설한 후 3년여에 걸친 면밀한 시장 조사 등을 거쳐 공장 설립을 최종 확정했다.

완성차 공장은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서 동쪽으로 약 40km 떨어진 브카시시 델타마스 공단 내에 설립된다. 77만6000㎡ 부지 위에 건립되며 총 투자비는 오는 2030년까지 제품 개발 및 공장 운영비 포함 15억5000만달러다.

현대차는 다음달 착공해 오는 2021년말 15만대 규모로 공장을 가동할 예정이며 향후 최대 생산 능력 25만대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생산 차종은 아세안 전략 모델로 신규 개발하는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B-SUV), 소형 다목적차량(MPV, B-MPV) 등과 아세안 전략 모델 전기차가 검토되고 있다.

현대차에 따르면 아세안 최대 자동차 시장인 인도네시아는 지난해 115만대 판매, 연 5% 수준의 안정적인 경제 성장, 2억7000여명에 달하는 세계 4위 인구, 평균 연령 29세의 젊은 인구 구조 등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시장이라고 평가했다.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싱가포르 등 아세안 주요국 자동차 시장 역시 2017년 316만대 수준에서 오는 2026년 449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는 인도네시아 및 아세안 지역에서 조기에 안정적인 제품 개발, 생산, 판매 체제 구축을 위해 혁신적인 차별화를 전개한다는 복안이다.

현대차는 소비자의 주문을 받아 제품을 생산하는 ‘주문 생산 방식(BTO)’을 새롭게 적용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주문 생산 시 제품 사양을 선택할 수 있고 생산자는 재고 관리 비용 등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는 온·오프라인이 연계된 판매 방식의 변화도 모색한다. 소비자가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 등 다양한 경로를 넘나들며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옴니 채널)를 현지 최초로 도입하고 선도적 전자상거래 업체와 협업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고객 중심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전국적 딜러망도 조기에 구축한다. 오는 2021년 말 공장 가동 시점에 맞춰 고객 접근성, 지역별 수요 등을 고려해 100여개의 딜러망을 우선적으로 확보하고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또 젊은 층을 주요 타깃으로 음성 명령, 차량 제어, 차량 내 쇼핑 등 첨단 커넥티드 서비스 중심의 상품 차별화 요소를 적극 발굴하고 현지 맞춤형 사양 개발에도 주력한다.

한편 현대차의 이번 투자 결정은 아세안 각 국가별로 5~80%에 달하는 완성차 관세 장벽과 자국 자동차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비관세 장벽 등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지 거점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다.

현대차는 인도네시아 공장을 전략적 교두보로 활용해 현지 시장을 공략하는 동시에 성장 잠재력이 높은 아세안 진출을 본격화한다는 목표다.

현대차는 아세안 자유무역협약(AFTA)에 따라 부품 현지화율이 40% 이상일 경우 역내 완성차 수출 시 무관세 혜택이 주어지는 이점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현대차는 인도네시아 공장에서 생산되는 완성차를 필리핀, 태국, 베트남 등 아세안 역내로 수출할 예정이며 호주, 중동 등으로의 수출도 검토중이다. 또 완성차와는 별도로 연 5만9000대 규모의 반제품 조립(CKD) 수출도 계획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