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정부·기업들 적극적...중앙정부 차원에서 로드맵 내야 한다는 비판도

중국 정부가 ‘중국판 수소경제’를 주창하면서 지방정부와 기업들을 중심으로 수소 관련 산업에 연구·개발(R&D) 등 투자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중국 정부가 지난 3월 수소에너지 설비와 수소충전소 건설을 추진한다고 밝힌 이후 지방정부·기업들도 정부 기조에 맞춰 수소에너지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9일 보도했다.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우한시는 내년까지 수소충전소 20개와 수소차 3000대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며 상하이시는 오는 2025년까지 50곳에 수소충전소를 설치하고 2만대 이상의 수소차를 생산할 것으로 보인다.

제일재경도 8일 포산시를 비롯해 약 20개 성·시에서 수소에너지·수소차 발전 계획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고 밝혔다.

자동차업체 창청 또한 수소 관련 R&D에 10억위안(약 1715억원)을 투자하는 등 정부와 기업이 중국판 수소경제에 협조하는 모양새다.

국영 기업인 중국석유화공(SINOPEC)도 지난 1일 포산시에 중국 최초의 주유소·수소복합충전소를 구축했다.

SINOPEC은 내년까지 베이징, 톈진, 허베이, 상하이 등의 지역에 각각 10~20개의 수소충전소를 설치한다는 방침이다.

SINOPEC 관계자는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베이징-장자커우에 수소 공급, 수소 충전, 수소충전소 운영 등을 지원할 예정”이라며 “현재 2~3개 수소충전소 구축이 확정된 상태”라고 말했다.

중국은 매년 2200만t의 수소를 생산하는 ‘세계 최대 수소 생산국’이다.

이는 세계 수소 생산량의 33%에 해당하는 양이며 2040년에는 중국 에너지 소비에서 수소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10%에 달할 것이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그러나 글로벌타임스는 경제적·기술적 어려움을 지적하며 고속 성장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했다.

샤먼대학 에너지정책연구소 소속 린보창도 수소가 전기, 화석연료보다 훨씬 비싸다는 것을 지적하며 보관·운송 분야에서 기술적 장벽이 있어 수소에너지를 대규모로 도입하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중국 내에서는 정부가 ‘수소경제’를 주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부가 방향성만 제시했을 뿐 로드맵 등 수소에너지 발전 전략 계획이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위줘핑 중국수소에너지연맹 전문가위원회 주임은 “중국 정부 차원의 수소에너지 발전 방향 제시가 부재한 상태”라며 “한국, 일본 등에선 이미 수소에너지 로드맵이 나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