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기술평가원 염학기 원전산업PD “규제 뛰어넘는 국민의 안전 추구해야”
도쿄전력 겐지 무라노 원자력운영관리부장 “후쿠시마 안전계통 손상 無”

21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9 한국원자력연차대회에서 원자력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특별세션 발표가 진행되고 있다.
21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9 한국원자력연차대회에서 원자력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특별세션 발표가 진행되고 있다.

원자력 발전 60년째를 맞아 원자력의 새로운 역할과 책임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특히 한빛 1호기 수동정지 사건이 논란인 가운데 원자력계 관계자 사이에서 안전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강화해야 한다는 얘기가 오갔다.

21일부터 22일까지 제주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 JEJU)에서 열리는 2019 한국원자력연차대회 첫날 ‘원자력의 책임-안전한 원전 운영과 사후관리’라는 주제로 특별 세션 발표가 진행됐다.

염학기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청정전력기획실 원전산업PD는 에너지전환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추진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염 PD는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산업환경 변화를 고려한 새로운 로드맵과 그에 따른 R&D 투자전략이 필요하다”며 “고리 1호기 해체와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 등 후행 연구에 대한 수요가 늘 것을 대비해 ‘Nu-Tech 2030’ 로드맵’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UAE에 원전을 수출했지만, 그 이후 장기 로드맵이 없다는 한계성을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앞으로 원전해체 충당금은 원전 1기당 7515억 원, 성숙기에 접어들면 원전해체 시장 규모는 222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국내외 해체시장 확대에 대비해 산업역량 확충과 생태계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염 PD는 “사용후핵연료 문제 해결을 위한 용기와 저장·처분 분야 기술개발이 시급하다”며 “앞으로 안전규제 기준을 넘어 국민이 안심하는 수준의 안전을 추구해야 하고 원전해체 상용화 기술자립과 고준위방폐물 관리·처분 기반 구축, 수출 생태계 경쟁력 강화에 힘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무라노 겐지(MURANO, Kenji) 도쿄전력 원자력운영관리부 부장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되짚어보며 그 이후 도쿄전력의 원자력 발전 현황을 설명했다.

무라노 부장은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 해일이 덮쳐 사고가 발생했지만, 지진으로 인한 안전 계통 손상은 없었다”며 “쓰나미가 덮치기 전까지는 안전 계통이 작용했다”고 말했다.

또 “지난해 7월 의회에서 이산화탄소 배출 없는 에너지원을 2030년까지 44%로 확대할 계획을 발표했다”며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도 불구하고 2016년 기준 전체 에너지원의 1.7%인 원자력을 2030년까지 20~22%로 끌어올려 기저부하용으로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무라노 부장은 “가시와자키 가리와 원전 6·7호기와 도카이 다이니 원전 등 3기의 원전에 대해 원자력 규제 인허가 개정이 이뤄졌다”며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 수명이 40년으로 제한됐지만, 특별조사를 거쳐 60년까지 한 번만 연장될 수 있는데 미하마 원전 3호기, 다카하마 원전 1·2호기, 도카이 다이니 원전 등 4기가 수명 연장됐다”고 전했다.

또 “9기의 재가동 가능 원전을 제외하고 11기에 대해서는 해체를 결정했다”며 “현재 후쿠시마 다이이치 원전 1~6호기가 해체 작업 중이고 올해 2월 국제해체연구소에서 만든 탐사 로봇을 이용해 연료 잔해를 제거하고 4월부터 연료를 제거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무라노 부장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항공기 충돌 대비, 방사성 물질 방출 억제 조치, 격납용기 파손 방지 조치, 노심 손상 차단 조치 등 2013년 7월 새로운 규제안이 마련됐다”며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교훈 삼아 안전 관련 계통 설비를 강화하고 안전 문화가 형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