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진 에너지Biz팀 기자
정현진 에너지Biz팀 기자

원전해체연구소 유치 지역이 확정됐다. 이로써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원자력 발전의 상징이던 지역이 원전해체의 상징으로 탈바꿈하는 순간이 다가온 셈이다.

국내외적으로는 이미 2011년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예상치 못한 원전의 조기 해체에 대한 사전 대비 필요성이 강조되는 추세다.

국내 원자력 발전과 수출은 최근 성적이 주춤한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발 빠르게 독자적인 원전해체 기술을 개발해 세계 원전해체 시장을 선점하고 주도하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연구기관은 우리 자체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고, 대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시장규모가 작고 장기적 투자를 고려해야 하는 원전해체 사업에 뛰어들지 '간 보기'를 하고 있다. 고리 1호기 해체 승인 예정 시기인 2022년까지 제염·폐기물 처리 등의 분야를 선점하기 위해 방사선 관련 중소기업들은 물밑작업을 벌이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국내 기준 원전 1기당 해체 비용은 7500억 원으로 추산된다. 우리나라는 10년을 한 호기당 해체 기간으로 보고 있다. 향후 세계 원전해체 사업에 뛰어들었을 때 550조 원 시장을 선도할 가능성이 있다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그다지 구미가 당기는 사업은 아니다.

하지만 현재 전 세계 678기 원전 중 영구정지 원전은 170기에 해당한다. 우리나라는 2025년부터 순차적으로 노후원전의 수명이 만료되기 시작해 2030년대가 되면 12기가 정지될 것으로 파악됐다. 건설 중인 원전을 제외하고 현재 가동 중인 원전 24기의 절반에 달한다.

세계적으로 1960년대 이후 건설된 노후원전의 수명 만료 시기가 다가오고 있어 원전해체는 불가피하다. 2030년대, 불과 10년 남짓 남았다. 현재 미확보된 10개의 기술을 개발해 고리 1호기를 성공적으로 해체하고, 연이어 세계 원전해체 시장에 발 빠르게 뛰어들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