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Biz팀 박정배 기자
에너지Biz팀 박정배 기자

미세먼지 이전에 대기오염이 있었다. 동북아시아가 본격적으로 산업화의 길에 들어서면서 필연적으로 공기의 질이 떨어졌다. 명칭만 바뀌었을 뿐이다. 봄마다 찾아오는 황사는 기관지 건강에 대한 걱정에 촉매제를 뿌렸다.

사회적 재앙으로 자리매김한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각종 토론회 혹은 심포지엄 등이 여기저기서 열리고 있다. 국회 홈페이지에서 미세먼지를 검색하면 의안정보시스템에 182건의 게시물이 올라온다. 정부는 ‘친환경’이라는 키워드를 앞세워 수소 경제 활성화, 클린디젤 정책 폐기 등의 정책을 내놓고 있다.

미세먼지라는 단어가 세간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전에도 대기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각종 정책이 나오고 행사가 열렸을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최소 30년 동안 공기 질에 대한 걱정과 논의만 난무할 뿐 실질적인 해결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마치 어느 정치인이 2012년 대선 후보 토론회에서 “대한민국 경제가 언제는 좋았던 적이 있었나요?”라고 반문했듯 “대한민국 공기가 언제는 좋았던 적이 있었나요?”라고 물어볼 만한 현실이다.

경유차 사용을 자제시키든, 타이어 내마모성을 올리든, 석탄화력발전소의 비중을 낮추든, 중국과의 외교를 현명하게 이끌어 유해물질 배출을 최소화하든, 인공강우를 현실화하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공기 질을 끌어 올려야 할 시점이다.

그들은 노력하고 있다고 하지만 더러운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국민의 시선은 따갑다. 미세먼지마저 정쟁의 수단이기 때문이다. 역대 정부의 책임론을 들며 ‘문세먼지’, ‘황세먼지’ 등의 유치한 설전이 난무하고 있다. ‘세먼지’ 앞에는 역대 대통령의 성이 붙어 ‘노세먼지’, ‘이세먼지’, ‘박세먼지’ 등의 단어도 나올 지경이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는 지난 14일 ‘미세먼지 : 에너지, 건강, 외교’ 토론회에 이른 아침인 오전 7시 30분에 몸소 찾아와 문재인 정부에 날을 세웠다. “문재인 대통령이 중국에 미세먼지 문제를 거론했는데 거의 면박에 가까운 답변을 들은 일밖에 없다고 알고 있다”며 “참으로 무책임한 정부”라고 일갈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문세먼지’라는 단어도 황 대표의 입에서 나왔다.

황 대표에게 ‘얻어맞은’ 민주당은 즉각 이해식 대변인이 ‘황세먼지’를 언급했다. 이 대변인은 “오히려 전 정권에서 총리까지 지냈으니 ‘황세먼지’가 더 설득력 있다”고 비꼬았다. 박근혜 정부 당시 결정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허가에 황 대표의 책임이 있다는 논리다.

중요한 것은 국민은 미세먼지의 원인이 누구에게 있는지 관심이 없다는 것이다. 서로 싸우기 위해 존재하는 여야지만 최소한 재앙 해결만큼은 협치의 모습을 보여주기를 기대한다. 미세먼지야말로 결과로 모든 것을 증명하는 요소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