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으로부터 1년 전, 한 달 간격으로 충북 제천과 경남 밀양에서 대형화재가 발생해 75명이 숨졌다.

두 사건 모두 ‘안전불감증’이 피해 규모를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문재인 대통령은 안전불감증을 ‘적폐’로 규정하고, 화재 안전대책 TF를 만들 것을 지시했다.

이후 정부는 ‘국가안전대진단’을 실시했고, 안전한 대한민국을 약속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2018년은 ‘인재(人災)의 해’로 기록됐다.

6월 용산 상가 붕괴를 비롯해 고양시 저유소 폭발(10월), 종로 고시원 화재와 KT 아현지사 화재(11월), 백석역 온수관 파열(12월), 강릉 KTX 탈선(12월), 강릉 펜션 사고(12월) 등 조금만 주의를 기울였다면 방지할 수 있었던,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사고들이 연이어 발생했다.

안전불감증은 전기·전력업계도 예외가 아니다.

전기·전력업계도 고압 전류가 흐르는 전선을 직접 만지는 등 위험한 환경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과정은 지지부진하다.

컨베이어벨트 운전원이었던 故 김용균 씨가 혼자 근무하는 것을 알면서도 낙탄을 처리하라고 지시한 것도 낙탄 처리 업무의 위험성을 간과한, 안전불감증에 의한 것이었다.

아무리 안전불감증 사회라도 ‘100%의 확률로 사고가 난다’는 확신이 있다면 이에 대한 조치가 반드시 있다.

문제는 우리 사회의 안전불감증이 가능성의 게임에서 ‘사고가 나지 않는다’에 베팅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명피해가 발생한 안전사고를 계기로 법이 개정돼도 바뀐 법의 테두리 밖에서 또 다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지금의 방식으로는 ‘구멍 난 곳에 땜질하기’를 반복할 뿐이다.

연말에 연달아 발생한 안전사고를 계기로 정부가 새로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여주기식이 아닌, 실질적이고 신뢰가 가는 ‘적폐 청산’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2019년은 인재(人災) 없는 한 해가 되기를 소망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