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전력 지난해 전력량계 스마트미터 소손 16건, 공표는 안해= 도쿄전력이 가정 등에 설치한 ‘스마트미터’ 가운데 지난해 8월까지 약 1년 간 부품 소손 등으로 문제가 발생한 제품은 16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소비자청은 이를 화재사고로 분류해 인터넷 상에 게재했지만 도쿄전력은 이를 공표하지 않았다.

스마트미터는 토코토시바 미터시스템즈(Toshiba Toko Meter Systems Co., Ltd.) 제품으로, 2015년 4월부터 11월까지 제조한 약 2만4000대의 콘덴서 부분에 불량이 있었다.

도쿄전력은 16건의 소손에 대한 구체적인 일시와 장소를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소비자청 등이 운영하는 사고정보 데이터 뱅크 시스템에 따르면 도쿄 도내에서 2017년 1~7월까지 토코토시바 미터시스템즈가 제조한 스마트미터로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 건수만 적어도 10건이며, 모두 ‘화재사고’로 분류됐다.

도쿄 소방청의 화재조사서에 따르면 이 중 히가시야마토시(도쿄)와 하치오지시(도쿄)의 사례는 미터 내의 제어기판으로 콘덴서가 단락해 과전류가 발생한 것이다. 그러나 화재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도쿄전력 홍보담당자는 스마트미터 사고사례를 공표하지 않았던 이유에 대해 “잘 타지 않는 소재가 사용됐기 때문에 건물에 불이 번질 위험성이 없고, 불필요한 혼란을 피하기 위해 공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불량 스마트미터는 대상자에게 통보한 뒤 3월 말까지 교환할 예정이다.

◆도쿄전력, 잉여 재생에너지를 저렴하게 공급= 교도통신에 따르면 도쿄전력이 최근 태양광발전 등 재생에너지 전원이 과잉공급될 경우 공장 등 대형 수요처를 대상으로 잉여전력을 저렴하게 공급하는 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전력 수급의 균형이 무너지면 대규모 정전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대형 수요처에게 전력 사용량을 늘리게 해 수급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목표다.

재생에너지를 둘러싸고 규슈전력이 지난 10월 대규모 정전 회피를 위해 일본 전국 최초로 본격적인 재생에너지 출력 제어를 실시한 바 있다.

홋카이도 관내에서는 지난 9월 수급 균형이 무너져 전 지역 정전이 발생했다.

이처럼 수급 균형 유지가 향후 과제로 남아 있어 타 전력회사에서도 동일한 대책이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교도통신은 밝혔다.

◆재해에 강한 전력공급체계 위해 송배전설비 사양공통화 추진= 재해에 강한 전력공급 체제를 만들기 위한 과제를 의논하는 경제산업성의 작업부회가 지난 주 회의에서 제시된 대책안을 대체로 승인했다.

산케이비즈에 따르면 바로 검토에 착수할 예정인 ‘중기대책’에는 대형 전력회사 간의 송배전설비 사양 공통화 등이 포함돼있다.

또 9월 지진 때 전 지역 정전이 발생했던 홋카이도의 경우 홋카이도와 본토를 연결하는 ‘기타혼 연계선’공사 완료 이후 추가 증설을 내년 봄까지 구체화시키기로 했다.

전주와 철탑, 전선 등의 송배전설비는 대형 전력회사 간 사양이 각기 달랐다.

단 사양이 공통화되면 조달 비용이 내려가 전기요금을 인하할 수 있고, 재해 시 다른 회사 전기원의 복구 작업이 쉬워지는 이점도 있기 때문에 검토를 가속화 시켜야한다고 밝혔다.

또 ‘기타혼 연계선’은 현재 용량이 60만kW지만 내년 3월에는 90만kW로 확대시킬 예정이다.

다만 전 지역 정전에 관한 제 3자의 검증위원회는 10월 중간보고에서 추가 증설 여부를 조기에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대책안에서는 90만kW의 용량 확대 이후 추가 증설에 대해 신속히 검토에 착수하고, 루트와 추가 용량 규모를 포함해 내년 봄까지 구체화시켜야한다고 밝혔다.

단, 출석했던 전문가들은 “다만 목적과 비용 대비 효과, 부담 방식 등을 철저하게 조사해야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