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때 유럽의 ‘병자’ 소리를 듣던 독일이 유럽의 ‘엔진’으로 불리며 슈퍼스타로 화려하게 부활한 데는 제조업의 힘이 컸다.

연간 3000억 달러(약 335조원)에 달하는 독일의 경상수지 흑자는 유럽연합 전체 흑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독일은 올해 3년 연속 세계 최대 무역 흑자국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미 세계 최고수준인 독일 제조업의 경쟁력은 2012년부터 ‘인더스트리 4.0’을 화두로 쉼 없이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

보호무역을 등에 업은 미국도 제조업의 부활을 만끽하고 있다. 실업률은 3%대로 4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며 완전 고용에 다가가고 있다. 일본도 다르지 않다. 24개월 연속 경기 확장추세다.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은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 공정경제를 3대 축으로 삼고 있다.

사람 중심의 소득주도 성장으로 간다는 게 골자고, 핵심은 ‘좋은 일자리’다.

실제 현 정부는 일자리 정부를 자처하며 일자리위원회를 출범시켰고,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으며 의지를 다졌다.

내년 일자리 예산은 역대 최대인 23조5000억원 규모다. 올해보다 4조2000억원이 늘었다.

정부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일자리를 강조해왔다. 문 대통령은 최근 공공기관에도 일자리 창출 기능을 강조했다. 좋은 일자리와 상생 같은 사회적 가치 실현이 공공기관의 경영철학이 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지방선거 이후 지방자치단체들도 최우선 추진과제로 ‘일자리 창출’을 내세우고 있다. 일자리가 곧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믿음 때문이다.

이 정도면 중앙정부든 지방정부든 요즘 표현으로 ‘기승전 일자리’라 할 만하다.

그러나 정부의 일자리 올인 정책에도 불구, 성적표는 영 시원치 않다.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불과 5000명 늘어나는 데 그치며 2010년 1월 이후 최저 증가폭을 보였다. 정부 전망치(18만명)의 36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무엇보다 제조업 일자리가 빠르게 붕괴하고 있다. 제조업 일자리는 서비스업에 비해 임금이 높고 고용은 안정적인데도 말이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전년과 비교해 지난 4월부터 매월 감소폭을 늘려왔다. 4월엔 6만8000명이 감소했고, 5월 7만9000명, 6월 12만6000명, 7월에는 12만7000명이 감소했다.

○…강조할 필요 없이 고용의 핵심 주체는 기업이다. 일자리를 늘리고 싶으면 기업이 그렇게 하도록 만드는 게 정책의 포인트가 돼야 한다. 일자리 창출은 결국 기업 경쟁력을 높여야 가능하다는 얘기도 그래서 나온다. 사업하기 좋아지면 일자리는 자연스럽게 늘어날 수밖에 없다.

볼링에서 킹핀은 1번, 3번 핀의 뒤에 위치한 5번 핀이다. 스트라이크를 치려면 킹핀을 맞춰야 한다.

굳이 선진국의 사례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현 정부의 최대 현안인 일자리를 해결하려면, 제조업 부활에 포커스를 맞출 필요가 있다. 경제도, 일자리도 결국 ‘킹핀’은 제조업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