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으로 냉방부하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노후 된 아파트를 중심으로 설비 고장으로 인한 정전 등이 잇따르고 있다. 25년 이상 된 노후 아파트의 경우 전기설비가 낡은 것은 물론 변압기 용량도 부족해 정전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하지만 대책 이래야 아파트 단지에서 자체적으로 예산을 확보해 설비를 보강 하거나 노후 설비를 교체하는 방법밖에 없다. 아파트에서 발생하는 정전은 순간적으로 몇 초간 정전에서부터 길게는 몇 시간까지 그 형태는 다양하다. 한전에 따르면 올 7월 아파트 정전건수는 91건으로 전년 동기 43건 대비 112% 증가했다. 대부분이 전기설비 고장에 따른 정전이었다.

가전기기가 대형화되고 냉난방은 물론 취사까지 전기로 해결하는 주택의 전기화(化)가 가속화되면서 이에따른 설비보강이 뒤따라야 하지만, 큰 돈이 드는 설비보강에는 인색한 게 사실이다. 그렇다 보니 아파트에서 정전이 발생해도 한전이 나서서 해결해 주길 바라는 경우가 많은데, 아파트 수전설비의 경우 사유재산에 포함되기 때문에 무턱대고 나서서 해결해 줄 수도 없는 상황이다. 사후관리도 문제다. 아파트 전기설비 고장으로 정전이 발생하면 관리하는 사람도 거의 없다. 간단한 스위치를 조작하는 데도 시간이 걸린다. 그러는 사이 주민들은 더위와 싸워야 한다. 전기사업법을 보면 계약전력 1000kW 이상 아파트는 전기안전관리자를 선임해 상주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그 이하 용량은 상주 의무가 없다. 계약 전력을 기준으로 볼때 300세대~600세대 규모의 아파트는 전기안전관리자가 상주를 하지 않는 셈이다. 단순히 기기 조작만 하면 정전에 따른 불편을 막을 수 있는데 사람이 없이 비상시 조치가 늦을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그동안 우리는 값싸고 편리하게 전기를 사용해 왔으며, 전기는 값싼 에너지란 인식이 머릿속에 자리잡고 있다. 또 ‘전기세’로 불릴 만큼 요금이 아닌 세금의 개념이 깊었다.

하지만 여름에는 시원하게, 겨울에는 따뜻하게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기는 많은 투자가 필요하고 관리해야 한다. 또 전기가 비싼 고급 에너지란 생각을 머릿속에 가져야 한다. 아파트 단지 정전예방위해 노후 전기설비에 대해 투자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