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1호기 있는 부산에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타당”
팩트만 따지는 핵물리학 박사 출신의 원칙론자, 주민들 18년간 신뢰

고리원전민간환경감시기구 최선수 센터장
고리원전민간환경감시기구 최선수 센터장

영화 판도라를 본 사람은 생각했을 것이다. ‘원전 지역 주민들은 불안해서 어떻게 살까!’ 한수원을 비롯한 정부기관은 이미 국민의 신뢰를 잃었다. 그래서 원자력발전소 인근에는 지역 주민을 보호하기 위해 원전을 감시하는 민간 기구가 있다.

이 중에서 고리원전민간환경감시기구(이하 감시기구) 최선수 센터장은 특유의 강직한 성품 때문에 산업부, 한수원, 심지어 감시기구 위원장인 기장군수와도 싸운다. 그래서 주민들은 그를 18년동안 신뢰했고 지역의 안전을 맡겼다.

▲ 고리원전민간환경감시가구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고리원전민간환경감시기구는 산업부 지침과 기장군 조례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원 받습니다. 감사원이 대통령 소속이지만 직무상 독립기관 이듯이 민간환경감시기구 역시 독립기구입니다. 대신에 국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감사원 감사를 받습니다. 그렇지만 산업부 감사는 받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산업부 산하 기구로 오해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대신에 지역 주민으로부터 전문성을 인정받고 신뢰받아야 합니다.

한국의 독자적인 모델은 아니고 일본의 환경감시센터라는 모델을 벤치마킹한 것입니다. 주민들 스스로 우리 지역의 방사선 환경을 직접 확인하고 조사할 수 있다는 것이 매력적인 장점입니다. 프랑스에서는 ‘지역정보위원회’라는 유사한 제도가 있지만 우리처럼 장비를 갖추고 분석활동을 하는 것은 아니고 ‘프랑스 원자력안전청’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활동합니다. 프랑스 국민은 정부를 신뢰하고 우리는 정부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정부를 신뢰하지 않기 때문에 민간기구가 생기게 된 것입니다.

▲ 성격이 강직하고 원칙론자이기 때문에 감시기구에는 적합하다는 것이 지역 주민들의 일반적인 평가입니다. 윤리적이고 타협을 모르는 성격 때문에 조직을 관리하는 센터장보다는 학자 이미지가 강하고 산업부 등 유관기관과 충돌이 많은데 본인의 성격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합니까?

저는 팩트를 다루는 엔지니어이기 때문에 사실관계가 불명확하면 이해할 수 없고 받아들일 수 없는 입장입니다. 주민의 안전이 위협받으면 산업부, 한수원과도 싸울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주위의 음해를 받기도 했지만 자리에 연연한 적은 없습니다. 센터장을 그만두더라도 사실관계는 밝혀야 합니다.

▲ 업무를 하면서 주위의 압력이나 간섭을 받은 적은 없습니까?

18년 동안 감시기구 센터장으로 재직하면서 눈치 보는 일은 없었습니다 그래서. 저에게 압력이라는 것은 생각 할 수 없습니다. 핵물리학 박사로서 팩트 앞에서만 겸손했습니다. 지역구 국회의원과 고리원자력발전소를 방문했을 때 한수원 직원이 국회의원에게 사실을 왜곡하는 설명에 화가나서 큰소리로 호통을 친 적이 있습니다. 국회의원이 날보고 진정하라고 했는데 나중에 다시 불러 저에게 이것 저것 물어본 적이 있습니다. 국회의원 앞에서도 할 말은 하는 성격을 알기 때문에 아무도 저에게 압력을 넣을 생각을 하지는 못합니다.

▲ 부산 울산 경북이 원전해체연구소 유치를 위한 경쟁이 치열합니다. 어떻게 생각하는지?

원전해체연구소의 목적은 고리1호기를 안전하게 해체하기 위함입니다. 그렇다면 고리1호기가 위치한 부산에 원전해체연구소를 설립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우리나라는 연구 원전을 해체해봤을 뿐 상업용 발전 원전을 해체해본 경험이 없습니다. 고리원전을 통해 실제 해체를 증명해야 합니다. 또 미국 영국 등 원전해체 기술 선진국이 언급되기도 하지만 우리 나라 자체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두산중공업 등 원전관련 설비 부품을 납품하는 기업이 창원에 많기 때문에 부산이 기반 인프라가 좋습니다.

▲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원자력도 과도기적인 에너지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신재생에너지가 원자력을 대체할 수 있을 때까지는 원자력이 어느 정도는 역할을 해줘야 합니다. 무엇보다 원전이 폐로될 때까지 안전하게 운영해야합니다. 지금까지는 이용률, 가동률을 중심으로 봤는데 앞으로는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봐야 합니다. 그리고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이 일방적이어서는 안됩니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원전이 위험하다고 판단될 때 지자체에서 원전을 가동 중지시킬 수 있는 권한이 있는 반면에 한국은 그렇지 못합니다. 아쉬운 부분입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