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거래・전기차 충전 등에 활용, 거래내역 투명성 확보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암호화폐) 이슈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Block Chain)이 이른바 ‘에너지 인터넷’을 실현할 수 있는 키워드로 주목받고 있다. 블록체인을 통해 투명한 에너지 거래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미래 에너지산업 발굴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은 분산된 P2P망 내 참여자들이 모든 거래 목록을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디지털 원장인 ‘분산원장기술’이 사용된 대표적인 기술이다. 분산원장기술은 중앙 관리자나 중앙 데이터 저장소가 없고, P2P망 내 모든 참여자가 거래 장부를 공유, 감시·관리하기 때문에 장부위조를 막을 수 있다.

블록체인의 가장 큰 장점은 신뢰할 수 있는 거래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에너지 사용정보를 분산원장에 기록, 누구나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 투명한 거래가 가능한 에너지 거래시스템 ‘에너지 인터넷’을 구축할 수 있다는 얘기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에너지 블록체인 도입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에너지 블록체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전력거래, 스마트그리드 등 에너지 분야에 적용한 것”이라며 “블록체인을 활용해 안정성, 투명성, 신속성, 비용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에너지 블록체인으로 활용되고 있는 기술은 개인 간 전력거래 비용을 줄이고 투명한 전력거래를 위한 ‘P2P 전력거래’를 비롯해 ▲전기차 충전·공유 ▲에너지 데이터 활용 ▲에너지 공유 ▲탄소자산 거래 등 다양하다.

이들 기술은 미국과 중국, 호주, 유럽 등지를 중심으로 연구·활용되면서, 에너지 블록체인 기술의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다.

일례로 중국의 Energo는 에너지 블록체인 분산앱을 개발,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 정보를 블록체인으로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으며, 호주의 Power Ledger는 P2P 전력거래, 전기차 충전, 탄소 거래 등 에너지 전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목표로 이더리움 기반의 암호화폐를 개발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태양광발전을 장려하기 위한 암호화폐 SolarCoin이, 오스트리아에서는 개인, 가정, 기업의 에너지 데이터를 분산원장에 기록,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에너지 공급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국가에 에너지를 공유하기 위한 시스템이 각각 추진되고 있다.

더 나아가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나서고 있다.

먼저 GE는 풍력,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해 발전 사업자와 에너지 소비자를 블록체인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충·방전 전력을 모두 기록해 계통의 수요를 모니터링하고 가상화폐를 이용해 전력을 즉시 구입하는 방식으로, 자동 거래가 가능하다.

GE 관계자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에너지 생산자와 소비자들이 만나는 시장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다”며 “신뢰성을 높이고 보다 쉽게 신재생에너지에 접근할 수 있는 방식을 연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멘스도 지난해 말 미국의 스타트업 LO3 에너지에 대한 투자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마이크로그리드 사업 추진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지멘스와 LO3는 2015년부터 분산자원을 활용한 에너지 자립형 ‘브루클린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을 진행해 왔다. 지멘스는 이 사업을 통해 에너지 시장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성을 확인, 관련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복안이다.

지멘스 관계자는 “LO3의 블록체인 기반 Exergy 플랫폼과 지멘스의 전력망 기술이 결합하면 이웃간 에너지 구매·판매·소비의 건전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시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