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앞서 통일 이룬 독일사례 벤치마킹 등

남북관계가 급속도로 가까워지면서 전력연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연결 시 경제적 과실을 논하기 이전에 분단 이후 벌어진 기술적 격차 극복과 함께 표준화를 통해 규격을 갖게 해야 경제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남북한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기본 주파수는 60Hz로 동일하지만, 계통특성과 전압레벨이 크게 다르며 국제규격과의 연관성 및 규격의 세분화 측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기본 전압인 송배전전압의 경우 북한은 3kV부터 200kV까지 다양하게 구성된 반면 남측의 배전전압은 22.9kV로 표준화됐으며, 송전전압은 345kV 및 765kV로 격상됐다.

전력계통분야 한 전문가는 “일제강점기까지 단일 전력계통으로 운영되던 남북한의 전력계통은 광복 이후 각기 다르게 발전해 왔으며, 북한은 광복 이후 일제강점기의 풍부한 수력전원을 활용해 전력공급의 자급자족을 이루면서 계통구성에 있어 당시의 틀을 벗어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전력설비의 규격도 북한은 광복 이후 중국과 (구)소련 및 동구권의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 규격체계를 채택한 반면에 남측은 서구권 국제규격을 적용, IEC 등 국제규격을 채택하며 규격의 세분화나 정밀성 측면에서 북한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남북한 전력망 통합에 앞서 남북한 전력설비 및 계통 표준화가 우선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전력계통분야 한 전문가는 “북한 전력망의 대용량화를 가능하게 해 전압강하나 전력손실을 저감시켜서 전기품질과 전력공급 신뢰도를 획기적으로 높여야 한다”며“이는 북한 전력망의 단순한 개보수나 전력기기 교체 차원이 아니라 남북한 전력망통합 측면에서 총괄적인 표준화를 시행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보다 약 30년 앞서 통일을 이룬 독일의 경우 표준화를 위해 동서가 분단된 상태에서도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갔다. 독일을 대표하는 표준화 기구인 DIN(Deusches Institut fur Normung)은 분단이전에 (구)동독지역을 포함한 전 독일 내에서 모든 표준화활동을 전담했다. 당시 서독정부는 분단 이후에도 동독지역에 DIN의 지소를 설치해 DIN 규격의 전시, 표준 관련 정보제공 등 산업표준의 이질화를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교류협력을 했으며, 이는 통일 이후 동독 표준을 DIN의 표준으로 무리 없이 흡수통일 하는 기반이 됐다. 독일을 사례를 본받아 남북관계가 개선된 후 전력계통 연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한 만큼 전력산업 전반에 걸쳐 남북간 이질화된 표준을 통합하기 위한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