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중순쯤 남북전기협력추진위원회 구성
제조업계 신시장 창출 가능성에 무게

‘4・27 판문점 선언’ 이후 남북경제협력에 대한 기대감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남북 정상은 이번 판문점 선언에서 2007년 ‘10·4 선언’에서 합의된 사업들을 적극 추진하며, 경의선(서울~개성~평양~신의주)과 동해선(강릉~고성 제진~북한 금강산) 철도·도로를 연결하고 현대화한다는 데 전격 합의했다. 앞으로 북미정상회담 등 빅 이벤트에 보조를 맞춰 국제사회가 대북제재를 점차 해제할 경우, ‘하나의 경제’ 내지 ‘한반도 신경제’를 위한 작업에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전기산업 및 시공업계도 남북경협에 따른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분위기가 그 어느 때보다 무르익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북한의 연간 발전설비 용량은 7661㎿로 남한의 약 14분의 1, 연간 발전량은 2390GWh로 2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안정적 전력수급은 경제 성장의 필수 조건인 만큼 경협의 폭과 방향에 따라 신시장 조성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와 관련 한국전기공사협회(회장 류재선)는 남북간 화해 모드 및 협력증진 분위기에 따라 ‘남북전기협력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남북 전기계 교류 협력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격적인 시장 개방에 대비할 뿐 아니라 전력산업이 타 분야 교류 협력의 인프라가 돼야 한다는 당위성이 출발점이다.

협회는 전기분야 전문가를 비롯해 학계, 언론, 북한 전문가 등 10인 내외로 실무 위원회를 구성하고, 북한 내 전력인프라 구축 및 건설 분야 협력을 준비한다는 복안이다.

5월 중순까지 위원회가 구성되면 전기용어 정리 및 일원화를 위한 자료 구축,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설비시공기준 표준화, 전기기술자 교류 협력을 위한 인적 네트워크 구축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전력기기 제조업계도 분주한 움직임이다.

업계는 그동안 동북아 슈퍼그리드 논의와 별도로 북한의 전력계통 및 전력기자재와 관련한 정보를 취합하고, 기본사양 및 규격 분석 등을 통해 전기기기 표준화를 위한 준비를 진행해왔다.

한국전기산업진흥회(회장 장세창)와 전기연구원(원장 최규하), 숭실대 산학협력단, 서울대 산학협력단 등은 지난 3년간 ‘한국형 중전기기 통합기반 조성을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을 추진, 오는 7월 완료할 계획이다.

해당 사업은 남북 중전기기의 통일화를 위한 기반을 구축, ‘원 코리아’를 실현하자는 원대한 취지에서 출발했다.

전기진흥회 관계자는 “현재 북한 전력기자재는 수입의 약 95%, 수출의 약 6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기기 수준은 남한의 70년대 후반, 80년대 초반 수준으로 파악된다”며 “3년 과제를 통해 송·변·배전기기 전반의 기술표준 통일을 위한 비교분석은 마친 상태”라고 설명했다.

​전력기기 대기업의 한 관계자는 “남북경협이 본격화될수록 전력산업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물론 경협의 범위나 속도가 구체적이지 않은 상태라 섣부른 낙관론은 경계해야 한다.

기업별로 기회와 리스크 요인을 꼼꼼하게 따져 구체적인 대북 사업에 대한 검토에 착수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송세준, 김명준 기자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