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판문점에서 남북 두 정상이 만난 뒤 남북 경협에 대한 논의가 기다렸다는 듯 활발해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한반도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에서 “남과 북은 민족경제의 균형적 발전과 공동 번영을 이룩하기 위해 10ㆍ4 선언에서 합의된 사업들을 적극 추진해나가며, 1차적으로 동해선 및 경의선 철도와 도로들을 연결하고 현대화해 실천적 대책들을 취해나가기로 했다”고 명시했다. 애초 4·27 남북 정상회담에서 경제협력이 의제로 잡히지 않았지만 두 정상이 경제 협력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이 때문에 철도, 도로, 전력 등을 담당하는 공기업과 업계에서는 경협에 대비한 준비에 분주해진 모습이다.

코레일이 지난 3월 남북 철도 연결을 전담할 남북대륙사업처를 신설한 것에 이어 한국도로공사 역시 이번 상반기 안에 남북 도로 연결 사업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한다는 방침이다. 북한에서 사업을 했던 경험이 있는 기업이나 새로운 사업을 고려하는 기업 역시 이번 경협에 기대를 드러내고 있다. 자동차 업계부터 에너지업계까지 북한이라는 블루오션 등장에 들뜬 것이다.

이렇듯 기업들이 신남북경협에 거는 기대가 큰 것은 남과 북이 함께 동북아에서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기존 경협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가능성이 커서다. 지난 남북 경협이 북한의 노동력과 자원을 활용한 가공사업이나 관광 교류 등에 집중했다면, 이번 경협에서는 철도ㆍSOC 등 경제성이 배가된 사업이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외교(평화)적 목표와 경제적 목표가 부합하는 구도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해외 투자은행들은 최근 열린 남북 정상회담이 국내 자산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남북 간 경제 협력이 재현된다면 코스피 지수가 최고 8%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남북이 적극적 교류나 완전한 통합에 이를 시엔 10~15%까지 코스피 상승 가능성이 있다고도 봤다.

결과적으로 이번 남북 정상회담은 북한뿐 아니라 우리에게도 경제 회복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 평화 체제 구축 외에도 북한이라는 새로운 시장과 성장 동력이 마련된다는 점에서 남북 정상회담을 반기지 않을 수 없다. 이번 회담으로 남북이 공존하는 경제공동체 마련이 조속히 시행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