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위원장, 취임 후 원전지역 주민과 적접 소통 나서
업계, 기존 보상정책으로 볼때 협상력만 높여줄라 ‘우려’

올 초 강정민 원안위원장 체제가 들어선 이후 원전지역 주민과의 간담회를 갖는 등 직접 소통을 강화하고 있지만, 업계는 불편한 기색이 역력하다. 그간 주민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보상정책이 주로 사용된 탓에 향후 주민과의 협상에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강 위원장은 취임 보름 만에 고리·새울 원전지역을 방문해 원자력안전협의회 위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앞으로 지역주민들과 적극적인 소통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지난 7일 월성원전지역을 찾아 지역주민과의 직접 소통 행보를 이어나갔다.

업계에서는 원자력 안전과 발전을 책임지는 원안위원장이 원전지역 주민들과 소통에 나서는 것은 환영할 일이지만, 보상지원정책 일변도로 사업을 추진한 관례를 미뤄봤을 때 향후 주민과의 협상에서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는 걱정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원전사업은 ‘주민수용성’이라는 난제를 안고 있다. 이 때문에 원전사업자는 기술적 안전성뿐만 아니라 주민수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사업추진과정에서 주민수용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발목 잡힌 선례가 있기 때문이다.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 포화가 임박한 월성원전은 사용후핵연료 대용량 건식저장시설(맥스터) 추가 건설에 관한 주민설득과정에 애를 먹고 있다. 또 2024년 포화가 예상되는 고리·한빛원전도 맥스터 건설에 대한 계획수립에 나서야 하지만 주민들의 눈치를 보느라 언급조차 꺼리는 실정이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도 천층처분방식의 2단계 방폐장 추진을 위한 주민수용성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원전사업을 시작한 이후 보상과 지원으로 주민수용성을 확보해왔기 때문에 원전사업과 보상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돼버렸다”며 “원안위원장이 직접 소통에 나서는 것은 좋지만, 자칫 주민들의 협상력만 높여준 결과로 이어져 향후 협상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을 가지고 사안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