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 훈풍이 불고 있다.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표명한 가운데 남북에 이은 북미정상회담까지 논의되면서 한반도 정세는 10년 만에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산업계에서는 이 같은 분위기가 남북 경협 재개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는 눈치다. 국내 시장이 한계점에 달하면서 새 먹거리를 찾기 위해 분주했던 산업계에선 접근성과 성장잠재력이 높은 북한 시장을 주목할 수밖에 없다.

한때 매년 수십억 원의 수익을 창출하며 우리 경제의 화수분이라 불렸던 남북 경협은 지난 2008년 금강산 관광이, 2016년 2월엔 개성공단이 전면 폐쇄되면서 냉각기로 접어들었다. 현대아산·개성공단기업협회에 따르면 이로 인한 우리 측의 피해액은 최소 3조원에 달한다.

특히 개성공단에 입주했던 우리 중소기업의 피해는 더 컸다. 폐쇄 당시 상주기업 수는 123개, 협력업체는 5000개, 관련 종사자는 10만여 명으로, 피해 금액은 8000억여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남북관계가 개선돼 경협이 재개된다면 정부가 추진 중인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축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반도 신경제지도는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부터 강조한 평화경제 비전이다. 남북한을 하나의 경제권으로 통합하는 경제 통일이 목적으로, 남과 북을 동해권·서해권·접경지역 등 3개 벨트로 묶어 개발하고 이들을 북방경제와 연계해 동북아 경협의 허브로 도약하도록 하는 내용이 골자다.

섣부른 기대는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납북 경협에는 당사자인 남북 외에도 유엔 안보리가 얽혀있기 때문이다. 국제사회로부터 대북 제재 완화에 대한 동의를 구하기 위해선 무엇보다도 5월로 예정된 북미정상회담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힘을 받는 이유다.

십수년간 얼어있던 남북 경협이 물이 돼 흐르기에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 다만 최근의 기류가 그 시간을 앞당기기 위한 첫 걸음이라는 사실은 분명하다. 남북 경협이 강줄기를 타고 바다로 흐를 수 있을지는 다가 올 두 번의 정상회담에 달렸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