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석탄발전 설계 업무 줄어, 정부 차원 보완책 마련 시급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으로 원전과 석탄 화력발전소 설계가 주력사업인 한전기술의 고급인력이 일손을 놓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전기술은 원전과 석탄 화력발전소 등 기저발전소 설계 엔지니어링을 수행하는 국내 유일의 엔지니어링 전문 공기업이다. 최초 입지분석, 부지조사, 인허가, 시공설계, 기자재평가지원, 시험 운전 지원 등 발전소 건설의 전 업무에 걸쳐 기술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한전기술은 현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의 직격탄을 맞았다.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 중 ‘미착공 신규 석탄 화력발전소 신설 중단’은 일부 후퇴하면서 한숨 돌렸지만, 신규 원전 6기 백지화로 한전기술의 경영에 큰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

문제는 고급인력이 전문으로 담당하는 설계업무가 점차 개점휴업 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올 1월1일 기준 2196명인 한전기술 임직원 중 석·박사는 707명으로 33.2%를 차지한다. 또 직종별로 연구직은 235명(10.7%), 기술직은 1534명(69.8%)에 달한다. 현 정책기조가 이어진다면 당장 이 인력이 설 자리는 좁아질 공산이 크다.

이 때문에 업계 안팎에서 국내 에너지 산업을 이끌어온 이들에 대한 대책을 요구하고 있지만, 소식은 감감하다. 국내 에너지 산업은 정부 주도로 추진되므로, 정부 차원의 정책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한전기술의 경영성과가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한전기술은 지난해 3분기(9월 30일 현재)까지 매출액이 약 3207억원으로 2016년 같은 기간에 비해 7.8%가량 감소했다. 해외 원전 수주 등 대형 프로젝트 없이 반등을 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한전기술은 정부 정책의 영향으로 인한 경영악화를 개선하기 위해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다. 중점 사업영역인 원자력·화력 분야를 넘어 글로벌 에너지 솔루션 선도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원전사후관리·융합기술·청정화력·중소형원자로 등 5대 분야를 중심으로 한 10개 신성장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아 성장세를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원자력계 관계자는 “한전기술은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으로 가장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기업”이라며 “한전기술의 인력은 고급두뇌인 만큼 이들에 대한 보완책을 마련해 국가적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