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대회 개최 이후의 경제적 효과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최근 현대경제연구원은 평창 올림픽이 향후 10년간 64조9000억원의 경제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교통망·경기장·숙박 등 직접 투자에 따른 효과가 16조4000억원, 외국인 관광객 입국에 따른 소비 지출이 4조7000억원, 이후 관광 활성화로 따른 효과가 32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분석은 새 정부가 들어선 뒤 남북 관계에 변화의 기류가 흐르면서 더욱 힘을 받고 있다.

당초 평창 올림픽은 급격히 경색된 남북 관계로 인한 불안이 증가하면서 흥행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하지만 근래 들어 남북은 대화채널을 확보한 데 이어, 최근 올림픽 공동입장,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 등의 협의가 이뤄져 올림픽 개최에 대한 기대감을 한층 고조시키고 있다.

이번 올림픽은 그간 침체일로를 걸어온 한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마중물이 될 것이란 목소리도 곳곳에서 나온다.

2002년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뒤 체험 상품 등을 개발해 대표적인 겨울 관광지로 자리 잡은 미국의 사례처럼, 서비스 기반의 관광 국가로 산업체계 개편을 꾀해볼 수도 있다는 생각에서다.

그러나 넘치는 기대감과는 별개로 올림픽 개최지인 강릉·평창 일대에서는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강원도 올림픽운영국에 따르면 강릉, 평창, 정선과 개최지 1시간 내 지역의 총 객실 수 기준 계약률은 28%에 그쳐 대규모 공실 사태가 우려되고 있다.

일부 업소의 ‘바가지 요금’이 업계 전체에 악영향을 끼쳤고, 경강선 개통으로 이동 편의가 증진되면서 되레 숙박률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감행해 ‘대박’을 기대했던 정부·지자체 입장에선 마냥 웃을 수많은 없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언론상에서는 벌써 올림픽으로 ‘실패’를 경험한 국가들의 사례가 언급되고 있다.

일본이 대표적이다. 1998년 열린 ‘나가노 동계올림픽’은 올림픽 개최를 위해 필요한 경기장 5개 중 4개를 신축하는 등 국가 차원의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새 수익모델을 창출하는 데 실패해 ‘적자 올림픽의 본보기’란 오명을 얻었다.

오는 2월 25일이면 평창 올림픽은 3주간의 축제를 끝내고 막을 내린다. 폐막 이후 평창 올림픽은 성공사례로 기억될 수 있을까.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