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의학원, 국내 신약개발지원 체계 확립 계획

복합연구센터 조감도
복합연구센터 조감도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신약개발지원 체계와 치료용 방사성의 약품개발을 위한 복합연구센터가 올 4월 완공된다.

한국원자력의학원에 따르면 오는 4월 지하 2층, 지상 7층 규모(연면적 1만4455㎡)의 복합연구센터가 완공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내년 12월까지 GMP(우수 의약품제조관리) 방사성의약품 생산시설, GLP(우수 비임상시험관리) 방사성동위원소기반 비임상평가시설, GCP(우수 임상시험관리) 마이크로도즈 임상시험시설과 초감도 가속질량분석기 등 연구장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주체하고 원자력의학원이 주관하는 이 사업의 총 사업비는 941억8000만원에 달한다.

원자력의학원은 이 사업을 통해 국내 신약개발지원 체계를 확립한다는 계획이다. 일반적으로 제약회사가 한 개의 신약을 개발하는데 약 15~20년이 소요되며, 총 13억달러(약 1조3000억원)의 비용이 발생한다.

원자력의학원 관계자는 신약개발 과정에서 방사성동위원소와 분자영상 기술을 이용한 신약평가방법을 도입하면 신약개발 기간 단축과 비용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원자력의학원은 치료용 방사성 의약품 개발 기반을 확립하기로 했다. 국내에서 암으로 인한 의료비를 포함한 사회적 비용은 약 6조원으로 추산된다. 암 치료방법에는 수술, 화학적치료, 방사선치료와 치료용 방사성의약품을 이용한 치료가 있다. 치료용 방사성의약품을 이용한 치료는 현실적으로 수술 또는 화학적 치료가 어렵거나 난치성 암을 겪고 있는 환자에게 주로 이용된다.

원자력의학원에 따르면 치료용 방사성의약품을 이용한 표적치료는 암환자의 완치 또는 생존기간 연장을 기대할 수 있고, 치료예후를 동시에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높은 가격으로 인해 국내 개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원자력의학원은 표적화 연구와 각종 난치성 질환의 치료제가 개발될 경우 의료비용을 매년 약 2000억원 절감할 수 있다고 전했다.

원자력의학원 관계자는 “복합연구센터와 관련시설, 장비 구축을 통해 제약 산업 발전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첫 번째 목표로 삼고 있다”며 “국가 신약개발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효율성을 제고, 나아가 해외 암환자 유치를 통해 국내 의료산업 육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