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때 아닌 지진 공포에 휩싸였다.

15일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은 지난해 9월 경주 지진의 공포가 채 사라지기 전이라, 우리에게 지진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을 다시 한번 일깨워 줬다.

무엇보다 16일에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뤄야 했던 수험생들에게는 평생 잊을 수 없는 사건이 될 듯하다. 수능시험을 일주일 연장하는 사상 초유의 사태까지 벌어졌으니 말이다.

천재지변, 그것도 지진 때문에 수능을 미루게 될 것이라는 상상을 한 수험생이 과연 몇명이나 되겠는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원인이 된 동일본 대지진 이후 우리나라도 정부 차원에서 지진에 대한 대응을 추진해 왔다.

발전소와 변전소를 비롯한 주요 인프라와 공공시설 등에 대한 내진보강 작업이 진행됐으며, 건축물의 내진설계 기준이 대폭 강화됐다.

내진설계 의무대상 건축물이 3층 또는 연면적 500㎡ 이상에서 2층 또는 연면적 500㎡ 이상으로 확대됐으며, 지진 조기경보 전달체계, 지진대피소 정비, 전국 단위 대대적 단층조사, 지진매뉴얼 정비 및 전문인력 양성사업 등 다양한 사업이 진행돼 왔다.

그럼에도 16일 오전 6시 현재 이번 포항 지진으로 전국에 접수된 신고 건수만 8348건에 이르고, 인명과 재산 피해 접수 건수는 149건에 달했다.

각종 인터넷 포털 사이트와 게시판에는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곳의 사진이 실시간으로 올라오고 있다.

빌딩 외벽이 자동차 위로 추락해 차체가 부서지고, 건물을 지탱하는 기둥이 부셔져 철근이 드러났으며, 도로가 갈라진 장면들은 지진의 무서움을 적나라하게 드러내줬다.

이는 결국 지난 정부의 지진대응 시스템으로는 실제 지진 발생 시 우리들의 안전을 제대로 담보할 수 없다는 사실이 여실히 드러난 셈이다.

지진의 공포가 다시 한번 대한민국을 휩쓴 지금 국민들은 자신의 안전을 지켜줄 수 있는 제대로 된 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한국이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란 것이 증명됐다.

이전 정부처럼 경제 논리와 예산으로 ‘뭉그적’거리지 말고, 신속하고 완벽하게 국민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대응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