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시장 변화 대응, 미래시장 선도에 초점’

한전은 전력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신사업기반 구축을 위한 기자재 개발에 2030년까지 385억원을 배정했다.

한전의 최대 현안인 친환경·고효율 기자재 개발에 투입된 예산(390억원)과 비슷한 규모다.

그만큼 새로운 기술, 소재 등이 적용되는 기자재 개발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는 뜻이다.

경량소재·기가스틸 적용 기자재는 초경량, 고강도의 명품 기자재를 개발, 시공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아이템이다.

강도와 내식성이 우수한 마그네슘, 타이타늄 합금 등이나 기가스틸을 기기외함, 금구류 등에 적용해 제품 경량화에 따른 설계하중 감소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포스코가 개발한 기가스틸은 100kg/㎟ 이상의 하중을 견디는 차세대 강판으로, 알루미늄보다 가볍지만 강도는 3배 이상 우수한 제품이다.

초 경량소재(그래핀 소재)를 활용한 케이블도 개발된다.

이 제품은 구리전선보다 높은 허용전류 등을 바탕으로 대전력 전송이 가능하다.

중기 과제에 포함된 생체모방소재 코팅 애자는 연꽃잎 효과(Lotus effect)를 애자 등 기자재 표면에 응용해 수분접촉, 절연파괴 등에 대한 대응력을 높인 제품이다.

장기적으로 근거리 무선 전력전송이 가능한 기기 개발도 한전이 관심을 쏟는 분야다.

한전은 근거리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활용한 신전력공급 모델 확보를 위해 1단계로 올해 배전계통 적용모델 설계를 추진하고 있다.

또 한전 인입 측과 고객 수전측 간의 무선 전력전송을 통한 인입 복잡개소 해소를 위해 인입선 대체 기술개발을 2019년까지 추진하고, 2020년 이후 저압선 대체 기술을 확보한다는 복안이다.

초전도용 전력기자재 개발 역시 한전이 장기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한전은 송전손실 감소와 송전용량 증대를 통한 경제성 향상을 위해 초전도용 전력기자재를 개발하고 있으며, 초전도용 케이블과 종단장치, 저장장치, 컨버터 등이 개발 대상이다.

DC배전용 전력기자재와 자동 OLTC 변압기도 개발된다.

DC배전용 전력기자재는 신재생, ESS 등 직류부하군 증가에 따른 효율적인 전력전송에 필요한 것으로, 한전은 AC/DC 전력변환기, 차단기, 수배전반 등 20kV급 특고압 DC기기를 개발할 방침이다.

자동 OLTC 변압기는 전압변동에 따라 자동으로 전압을 조정(배전선로 전압레벨의 ±10%)할 수 있는 것으로, 각종 센서 탑재와 전압데이터 모니터링을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질 예정이다.

또 분산전원 단독운전 방지기능 전력량계는 전력량계에서 단독운전 상태가 감시되면 개폐기에 차단신호를 주는 것으로, 한전은 분산전원 배전계통 연계에 따른 역조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한전은 이밖에도 ESS 비상발전차, 저압계통용 ESS 등 배전 ESS 기술개발을 통한 능동형 배전계통 운영을 위해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2020년까지 2007억원을 들여 260MWh의 ESS를 설치할 예정이다.

한전은 ‘2030 미래 배전기자재 종합 개발계획’에 담긴 다양한 기자재 개발을 오는 2030년까지 일정에 따라 주력연구, 중기협력과제 등의 형태로 추진하는 한편 최신기술 동향과 트렌드를 반영할 수 있도록 롤링 주기도 과거 4년에서 2년으로 단축키로 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