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급업체 직원 실수로 인한 공급 중단 여파로 순환단전
한국, 단일 가스배관 차단 전력난 우려 적다…전력공급 규모 2% 불과

우리나라보다 앞서 탈원전을 추진 중인 대만에서 대규모 정전이 발생하면서,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에너지전환 정책이 또 다시 비판에 직면했다.

지난 15일 대만에서는 대만 전체 가구의 3분의 2 수준인 800만가구 가량이 정전됐고, 일부 반도체 공장도 정전으로 피해를 입었다. 리스광 대만 경제부장(장관)이 사의를 표명하는 등 후폭풍도 거세다.

최근 2년간 원전 3기의 가동을 중단한 대만의 전력공급 차질 소식에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비판적 시각을 보내던 정치권과 산업계는 일제히 무조건적인 탈원전 정책의 이행은 대만과 같은 전력위기를 가져올 수 있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는 대만 정전의 원인은 탈원전이 아니라며 적극 대응에 나섰다. 대만 대정전 사태의 직접적인 원인이 탈원전이 아님을 강조함으로써 에너지전환 정책에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겠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대만 대규모 정전의 직접적인 원인은 대만 총 발전설비의 10%를 담당하는 420만kW 규모의 타탄 가스발전단지의 가스공급 차단”이라며 “가스공급 차단으로 발전소가 일시정지됐고, 자동정전시스템이 작동하면서 지역별 순환단전이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원전 가동 중지 등 탈원전 정책의 시행은 이번 대만 정전사태의 직접적 원인이 아니다. 대만 정전사태를 대만의 탈원전 탓으로 결론짓고 사정이 다른 우리의 경우와 직접 비교해 향후 동일한 사태가 날 것으로 예견하는 것은 무리”라며 “정부는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2030년 전력수요와 공급을 사전에 충분히 고려하면서 안정적 전력수급을 전제로 탈원전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대만과 우리나라의 가스공급 체계를 설명하며 안정적 전력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는 뜻도 전했다.

대만의 가스공급차단은 당시 LNG 가스 공급업체의 직원이 조작 실수로 밸브를 잠그면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로 인해 LNG 발전소에 들어가는 가스공급이 중단되면서 발전소가 가동을 멈췄다.

우리나라 가스공급체계는 다중의 경보·감시·운영체계를 통해 가스밸브 조작 오류시에도 압력저하 경보가 자동발령된다. 지역과 중앙통제소에서 원격 조작도 가능하다. 가스공급 부문에서 문제가 발생해 정전이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

가스공급중단 등 유사시에도 안정적인 전력수급이 가능한 이유도 설명했다.

산업부는 “대만의 전력공급 규모(42GW 규모)는 우리나라(113GW)의 37% 수준으로, 이번에 중지된 가스발전단지가 대만 전력공급의 10%를 차지했지만 우리는 단일 가스배관 차단으로 정지될 수 있는 발전기가 최대 228만kW로 우리 공급규모의 2% 수준에 불과하다”며 “현재의 공급여력(설비예비율 34%)을 감안하면 충분히 안정적인 전력수급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나라 전력망은 환상망으로 구성돼 있어 특정 지역에서 발전소가 멈추는 등 공급문제가 발생하더라도 타 지역에서 발전을 통해 전력을 우회 공급할 수 있다”며 “정부는 향후 신재생 발전 등 분산형 전원을 더욱 확대해 나감으로써 일부 지역 밀집에 따른 리스크를 지속적으로 완화해 나가는 한편 만일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도 사전에 철저히 점검해 안정적 전력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