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전에서 1600억원이라는 역대 최대 규모의 스마트미터 발주공고가 나오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한전은 되도록 많은 기업이 낙찰을 받을 수 있게 지난해에 이어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을 적용했다.

기존 전력량계 제조사 20여곳과 함께 추가로 16개 기업이 입찰에 참여할 것으로 보여 어느 때보다도 가장 치열한 수주경쟁이 펼쳐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스마트미터 시장에 중소기업이 늘어나는 것은 환영할만한 일이지만 걱정이 앞선다. 연구개발 기술력을 갖추고 전력량계를 전문으로 생산하려는 업체가 눈에 띄지 않아서다.

신규로 진출하려는 16개 기업의 면면을 살펴보면 태양광시공, 개폐기, 전자부품, 계측기 등 주력사업이 모두 전력량계가 아니다.

이는 전력량계가 타 품목에 비해 고도의 기술력과 생산시설, 인력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기술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에 너도나도 진출하는 것이다.

들리는 바에 따르면 입찰경쟁이 심화되자 기존 전력량계 업체들이 수주물량을 더 많이 확보하기 위해 ‘꼼수’를 쓰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조는 이렇다. A 전력량계 제조사의 임직원이 퇴사를 하고 기본적인 등록자격만 갖춰 새로운 기업 B를 설립, 입찰에 참여한다. B 회사는 겉으로 보기엔 독립법인이고 창업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실상은 A의 자회사나 계열사 역할을 하는 것이다.

어느 한쪽이 낙찰을 받게 되면 물량을 나눠 갖는 등 수주실패 위험성을 분산하기 위한 일종의 ‘꼼수 수법’인 셈이다.

이 같은 수법은 전력량계업체들이 한전 입찰담합으로 2015년 부정당업자 제재처분을 받으면서 본격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제재처분으로 일정기간 입찰에 참여할 수 없게 되자 고안한 편법이다.

기업들의 이러한 행태는 시장 질서를 어지럽히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건전하고 공정한 스마트미터 시장 조성을 위해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