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연계 ESS에 REC 5.0 주면서 시장 급성장
ESS 업계 “시장 안정화까지 지원제도 유지해야”

사진제공=KT
사진제공=KT

에너지저장장치(ESS)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정부가 마련한 지원제도가 성과를 내고 있는 가운데 지속적인 지원제도 유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올해 ESS 시장은 지난해에 비해 대폭 성장했고 연관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도 다양해졌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ESS 보급규모는 89MWh에 달한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보급한 55MWh에 비해 60%나 증가했다.

ESS 보급을 견인한 건 지난해 9월 정부가 신설한 태양광 연계형 ESS 신재생공급인증서(REC) 가중치 5.0 덕분이다. 태양광 발전 연계형 ESS는 낮 시간대에 태양광으로 생산한 전력을 ESS에 저장했다가 REC 가중치를 부여하는 시간대에 방전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ESS에 태양광으로 생산한 전력을 저장했다가 다른 시간대에 방전하면 REC 가중치 5.0을 받을 수 있다.

태양광 연계형 ESS에 대한 REC가 신설되면서 기존 태양광 발전은 물론 신규 태양광 발전에 ESS를 연계하는 사업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ESS 업계에서는 시장상황을 “뜨겁다 못해 폭발할 지경”이라고 표현할 정도다.

다만 REC 5.0의 지속여부가 관건이다. 올해까지 설치한 태양광 연계 ESS에 대해서만 REC 5.0을 적용하고, 내년부터는 달라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REC가 축소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그 축소폭이 예상보다 클 수도 있어 업계에선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지원제도 덕분에 태양광 연계형 ESS 시장이 탄생한 만큼 제도를 어떻게 손보느냐에 따라 시장의 운명이 좌우될 수 있다. 내년에는 어떻게 제도가 달라질지 몰라 태양광 ESS 사업을 서두르는 기업이 많다보니 최근 일시적으로 ESS용 배터리 수급에 문제가 발생하는 웃지못할 상황도 벌어지고 있다.

ESS 솔루션 기업 관계자는 “정부의 지원제도 덕분에 태양광 ESS의 경제성이 개선됐고, 시장도 급속도로 성장했다”며 “하지만 아직 안정세에 접어든 건 아니기 때문에 정부가 지원제도를 중장기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풍력발전 연계형 ESS REC의 경우 2015년 5.5, 2016년 5.0, 2017년 4.5 등 단계적으로 낮추는 방식으로 운영했다. 하지만 태양광 ESS는 아직 명확한 지침이 공개되지 않고 있다.

업계에선 올해 1월부터 시행 중인 ESS 전용특례요금제도의 시행 방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ESS 특례요금제도는 피크절감용으로 ESS를 설치하고 충방전을 할때마다 최대 50%씩 전기요금을 할인해주는 제도다. 당초 2019년까지 시행하기로 했던 요금할인제도는 1년 더 연장돼 2020년까지 시행한다. 덕분에 피크절감용 ESS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은 향후 3년간 사업계획을 세울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ESS 시장이 성장한다고 제도를 축소하기보다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단계까지 지켜봐야 한다”며 “정부도 사업자들의 이러한 의견을 감안해 정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