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V outlook 2050 보고서 발간
일본 내 전력시스템 개혁, 태양광 등 신재생 보급 가속화 전망

일본정부의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 목표를 위한 200GW의 태양광설비 보급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일본 태양광발전협회는 최근 ‘PV Outlook 2050' 보고서를 통해 태양광이 조건에 따라 출력이 큰 폭으로 변하는 자연변동 전원이긴 하지만 제반 여건의 변화로 인해 2050년 태양광발전의 최소 도입량을 200GW를 무난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대비 80% 감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당시 일본 환경성의 계획에 따르면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전원 비중은 약 90%로 확대돼야 하며, 이때 태양광 발전의 최소 도입 설비용량이 바로 200GW다. 일본 전체 설비용량의 약 20% 수준이다.

일본태양광발전협회 측은 전력시스템 개혁에 따른 연계선의 운용규정 개정과 광역운용 실시 효과가 태양광 200GW 달성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0년 실시 예정인 발전과 송전의 분리 역시 효율적인 계통운영에 기여해 태양광 보급을 늘릴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보고서는 오는 2030년부터 일본의 장기 전력계통 확충 계획과 계통 정비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 태양광을 중심으로 한 분산형 전원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멀리 떨어진 곳의 대규모 전원을 중심으로 한 계통이 분산전원을 중심으로 한 계통으로 전환되는 시기는 2040년경이다. 재생에너지의 경쟁력 향상과 비중확대도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FIT제도 개정으로 무효화되는 태양광 설비 인가를 대체할 신규설비의 도입 촉진에도 기대감을 보였다.

일본의 기존 FIT제도는 먼저 인가를 취득하고 전력회사에 접속계약(인가설비와 전력회사의 송전시설 등과 접속하는 계약)을 신청하면 되는 시스템이었지만 개정 FIT 제도에서는 인가를 받기 위해선 전력회사와 접속계약 체결이 선행돼야 한다. 즉 앞으로는 계통연계가 확정된 태양광 설비만 인가를 받을 수 있어 태양광 발전의 안정적인 보급 확대로 이어질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다.

현재 일본 정부로부터 인가를 받았지만 가동하지 않는 태양광발전설비는 약 49GW 규모로 추정된다. 이 중 올해 3월 31일까지 접속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는 인가가 원칙적으로 무효화된다. 일본태양광발전협회는 FIT제도 개정으로 약 20~27GW 가량의 설비 인가가 무효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