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유차 100만대가 배출하는 온실가스보다 75~97만t 감소
전기차 증가 따른 발전부문 온실가스 배출량도 함께 계산

2030년까지 전기차 100만대를 보급할 경우 휘발유차 대비 온실가스 배출 감축량은 최소 75만t에서 최대 97만t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전기차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모두 고려했을 때 이야기다.

대표적인 친환경차인 전기차는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탁월하다. 특히 휘발유차와 달리 직접적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다. 한국은 파리기후변화협약을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3억1500만t을 감축해야 한다. 이중 수송부문은 2590만t을 줄여야 한다. 이 때문에 정부는 자동차 평균연비 기준을 강화하고,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차 보급, 대중교통 운영확대 등을 통해 목표를 달성한다고 밝혔다. 전기차를 보급하는 것도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인 것이다.

전기차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연구한 이지웅 부경대 교수, 김승연 에코시안 연구원, 이상림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가 발표한 정책을 토대로 추정한 결과 전기차 100만대가 보급되는 2030년 전기차의 온실가스 배출감축량은 휘발유차의 절반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전기차의 온실가스 감축량을 계산하기 위해 전력수요가 증가하면서 늘어나는 배출량도 고려했다. 그 결과 2030년까지 전기차 100만대를 보급하고, 평균 주행거리를 30.4km로 계산할 경우 증가하는 전력수요는 2219GWh 수준이다. 전력을 생산하는 원전, 석탄발전, LNG, 신재생에너지 등 발전원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전기차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치도 달라진다.

연구진은 3가지 전원믹스 시나리오를 고려해 각각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했다. 우선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그대로 추진하는 시나리오1의 경우 2030년 전기차 보급에 의한 발전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79만5000tCO2가 증가한다. 휘발유차 100만대의 온실가스 배출전망치가 170만7000tCO2라는 것과 비교하면 전기차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절반 수준이다. 7차 수급계획은 원자력 39%, 석탄 39%, LNG 9% 등으로 전원이 구성됐다.

다만 문재인 정부가 신규 원전과 석탄발전소 건설을 중단한다고 밝힌 만큼 첫 번째 시나리오대로 진행될 가능성은 낮다. 두 번째 시나리오 역시 첫 번째 시나리오에서 노후석탄을 폐지하고 최근 전력수요만 반영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소폭 줄었다. 2030년 전기차 보급에 의한 발전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73만8000tCO2가 증가하는 데 그쳤다. 시나리오 1과 2 모두 원자력 비중이 높아 온실가스 배출량은 낮은 편이다.

눈여겨 볼 부분은 세 번째 시나리오다. 시나리오3은 노후석탄을 폐지하고 신규 원전 6기의 건설도 취소하는 것을 가정했다. 문재인 정부가 내세운 탈원전, 탈석탄 기조와 밀접하다. 원전 비중이 39%인 시나리오1에 비해 32.7%로 낮아지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86만2000tCO2로 높아졌다. 휘발유차의 배출전망 대비 49% 수준이다.

시나리오3에서 기존 원전 11기의 가동을 중단할 경우에는 휘발유차 배출전망 대비 44%로 차이가 줄어든다.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원자력발전의 비중에 따라 전기차의 온실가스 배출량도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연구진은 “원자력이나 신재생에너지 등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큰 전원의 비중이 높을수록 전기차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효과도 커진다”며 “전기차가 많아질수록 전력 생산을 늘려야 하기 때문에 국가 전체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다만 연구결과를 토대로 계산하면 2030년 휘발유 1대가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1.71tCO2이고 전기차는 0.74tCO2이다. 온실가스 차이는 0.97tCO2로 100만대로 계산하면 97만tCO2에 달하는 만큼 정부 목표대로 전기차를 보급하면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